포스코홀딩스, CCUS·수소환원제철 진행 상황 점검
포스코홀딩스가 출범 후 첫 '그룹ESG협의회'를 개최하며 ESG경영 이행 상황을 점검했다. 탄소 포집·활용·저장(CCUS)기술 도입과 수소환원제철 기술 상용화 등 포스코그룹이 추진 중인 핵심 과제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포스코홀딩스는 30일 서울 포스코센터에서 제1회 그룹ESG협의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그룹ESG협의회에는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을 비롯해 포스코홀딩스 및 주요 사업회사 대표이사, 주요임원, 해외법인장 등 100여명이 온·오프라인으로 참석했다.

최 회장은 “ESG협의회를 통해 포스코그룹의 ESG경영에 대한 의식 수준과 실행력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함께 힘써야 한다”며 “기업시민 및 ESG경영을 기반으로 포스코그룹의 ‘리얼밸류’ 스토리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룹ESG협의회는 지난 3월 그룹 지주사인 포스코홀딩스 출범과 함께 지주사를 중심으로 포스코그룹의 ESG이슈를 모니터링하고, 리스크를 진단해 대응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신설됐다.

회의 참석자들은 ‘ESG 경영 트렌드와 ESG 표준, 규제화 동향’에 대한 외부 전문가 특강을 들었다. 이후 △리얼밸류의 개념과 기업시민 경영이념 △2022년 포스코 기업시민 추진방향 △기업시민 주요사업 현황 △주요 사업회사 기업시민 추진현황 △포스코 탄소감축 전략 △기업시민보고서 발간 계획 등에 대한 발표가 이어졌다.

이날 철강사업회사 포스코는 CCUS기술 도입과 수소환원제철 기술 상용화, 포스코형 저탄소 제품 판매전략 등 사업장 감축과 사회적 감축을 통한 2050년 탄소중립 추진전략을 공유했다. 포스코는 2030년까지 사업장 직접 감축 10%, 사회적 감축 10%를 달성할 계획이다. 이어 2040년까지는 50%를 감축하고,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한다는 목표다.

올해부터는 기존에 ‘2050 탄소중립 로드맵’을 발표한 포스코와 포스코건설 외에도 포스코인터내셔널, 포스코케미칼, 포스코에너지, 포스코스틸리온, 포스코ICT, 포스코엠텍 등 주요 사업회사도 기업시민보고서를 통해 ‘2050 탄소중립 로드맵’을 발표·이행하기로 했다.

포스코홀딩스는 매분기 ‘그룹ESG협의회’를 개최할 계획이다. 탄소중립, 안전, 환경 등에 대한 그룹차원의 관리 체계를 강화해 철강, 이차전지소재, 무역, 건설, 에너지 등 각 사업 회사별 특성에 맞는 대응 역량을 높여 나간다는 방침이다.

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