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이노텍은 2040년까지 국내외 전 사업장에 대한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고 16일 밝혔다. 탄소중립은 기업이 배출한 만큼의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거나 포집하는 대책을 세워 실질적인 배출량을 ‘0(제로)’으로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LG이노텍은 최근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위원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2040 탄소중립 추진계획’을 결의했다. LG이노텍은 이를 위해 2030년까지 전 세계 사업장에서 사용하는 전력을 모두 재생에너지로 전환하고, 2040년에는 탄소배출을 제로화하기로 했다. 현재 회사가 배출하는 온실가스의 90% 이상은 사업장에서 사용하는 전력에서 나온다는 점을 감안한 계획이다. 국내 사업장은 100% 재생에너지 전환을 위해 태양광발전 설비 도입을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재생에너지 발전 업체로부터 직접 전력을 구매하는 ‘전력거래계약(PPA)’도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한국전력에 추가 요금을 내고 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전기를 공급받는 ‘녹색프리미엄’ 제도 등도 이용할 예정이다. LG이노텍은 올해 녹색프리미엄으로 공급받는 재생에너지 전력은 총 192GW(기가와트)로, 약 6만5000 가구가 연간 사용하는 전력량과 맞먹는다고 설명했다. 베트남 이외 해외 생산시설에서도 PPA나 재생에너지 사용인증서 등 국가별 제도를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LG이노텍은 이와 함께 매립 폐기물에서 발생하는 탄소를 줄이기 위해 ‘폐기물 매립 제로’ 인증을 국내외 사업장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박신영 기자 nyus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