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새 확 달라진 지방민심…팽팽한 대결구도 예고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가 1년 앞으로 다가왔다.

내년 6월 1일 치러지는 지방선거는 한발 앞선 3월 대선과 함께 정치지형을 정하는 역사적 이벤트다.

차기 집권여당은 국정운영 안정론을, 야권은 정부독주 견제론을 각각 내세우며 총력전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지방선거 1년 앞으로…여야, 포스트 대선 첫 격돌
3년전 지방선거는 더불어민주당의 압승으로 끝났다.

민주당은 2017년 대선의 문재인 대통령 당선에 이어 2018년 지방선거를 싹쓸이하며 중앙·지방권력을 동시에 석권했다.

이는 이듬해 총선에서 비례정당을 포함해 무려 180석을 확보하는 교두보가 됐다.

내년 지방선거의 지형은 사뭇 다르다.

리얼미터가 오마이뉴스 의뢰로 지난 24∼25일 전국 18세 이상 2천4명을 대상으로 조사(95% 신뢰수준에 ±2.2%포인트.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참조)한 정당 지지도를 보면, 8개 권역 가운데 민주당이 앞서는 곳은 대전·충청·세종과 광주·전남·전북뿐이다.

광역단체장으로 환산하면 17곳 가운데 7곳이다.

지난 지방선거에서 민주당이 광역단체장 14곳을 석권한 것과 비교하면 반토막이 난 셈이다.

지난 4·7재보선에서 국민의힘이 서울시장과 부산시장 선거에서 압도적 표차로 승리한 것도 이처럼 달라진 민심을 반영한다.

배철호 리얼미터 수석전문위원은 30일 통화에서 "2018년 지방선거는 2016년 촛불부터 2017년 대선, 2018년 싱가포르 선언 등 여당에 유리한 일련의 흐름 속에서 치러졌지만, 이제는 보수야당도 어느 정도 회복해 전열을 정비했다"고 평가했다.

지방선거 1년 앞으로…여야, 포스트 대선 첫 격돌
가장 큰 변수는 내년 3월 대선이다.

대선 표심이 고스란히 재현되지는 않았지만, 어느 정도 여진이 이어질 수 있다.

차기 집권당이 신정부의 국정 안정론을 내세워 유리한 고지에 설 가능성이 크다.

3개월이라는 시차를 고려한다면, 정권 견제론보다는 국정 안정론이 더 힘을 받지 않겠느냐는 뜻이다.

새 얼굴이 얼마나 등장하느냐도 관심사 중 하나다.

현직 광역단체장의 교체가 거론되는 지역에서는 자천타천으로 새 인물들이 하마평에 오르내리고 있다.

실제 물밑에서의 움직임도 조금씩 활발해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3선인 최문순 강원지사와 이시종 충북지사는 연임 제한 규정에 걸려 다음 선거에는 출마하지 못한다.

이재명 경기지사의 경우 민주당의 가장 강력한 대권주자인 만큼 사퇴할 가능성이 있다.

이 밖에도 원희룡 제주지사, 양승조 충남지사 등 대선을 준비하는 광역단체장들의 행보도 관전 포인트로 꼽힌다.

야권 일각에서는 권영진 대구시장 역시 대권 도전에 나설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지난 보궐선거 승리로 서울시정에 복귀한 오세훈 서울시장은 현재로선 '4선 시장'에 도전할 가능성이 크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