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급성 백혈병 치료제가 어떤 환자에게 잘 듣는지 가려낼 수 있는 유전자 진단 원천 기술이 개발됐다.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김유식 교수와 서울대병원 혈액암센터 홍준식 교수 공동 연구팀은 "급성 골수성백혈병 및 골수이형성증 치료제인 '데시타빈'에 효과가 있는 환자와 없는 환자를 구별할 수 있는 유전자를 새로 발견했다"고 7일 발표했다.

데시타빈은 DNA(데옥시리보핵산) 일부인 '메틸기(CH3)'를 제거해 치료효과를 내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암세포는 일반세포보다 DNA에 메틸기가 많은데, 여기에 데시타빈을 넣으면 DNA 메틸기가 떨어져나가며 여러 종류의 RNA(리보핵산)가 생겨난다. 이 때 '이중나선 리보핵산(dsRNA)'이 생기면서 면역 활성이 일어나 암세포를 사멸하는 메커니즘이다.

연구팀은 dsRNA와 직접 결합하는 '스타우펜1'이란 단백질이 데시타빈 효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처음 규명했다. 스타우펜1 발현이 억제된 세포에선 dsRNA가 빠르게 제거되면서 면역 반응이 저하되고, 암세포 사멸도 일어나지 않았다는 설명이다. 즉 스타우펜1 발현이 된 환자에게만 데시타빈을 투여해야 암 치료 효과를 볼 수 있다는 뜻이다.

연구팀 관계자는 "급성 골수성백혈병, 골수이형성증 환자별로 적합한 치료를 설계해 환자가 들이는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실렸다.

이해성 기자 ih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