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재벌은 일본경제 발전의 역사 /

후계 경영자들의 판단이 그룹의 흥망성쇠 결정 #



우리나라에서도 널리 쓰이고 있는 ‘재벌’(財閥)의 원조는 일본이다. ‘재벌’이란 용어는 메이지 시대 중반 야마나시현 출신의 사업가들이 단결해 경제계에서 선풍을 일으키자 일본 언론들이 처음으로 사용했다.

당시 ‘재벌’은 “같은 현(한국의 도 정도) 출신의 기업가 집단”을 의미했다. 메이지 시대 중기 미쓰이, 미쓰비시, 스미토모 등이 ‘재벌’로 불렸다. 혈연관계로 맺어진 이들 경제집단을 가르키는 말로 ‘재벌’ 용어가 정착됐다.
일본경제사 연구가인 모리카와 히데마사는 “부호의 가족, 동족의 폐쇄적인 소유, 지배 아래 성립된 다목적 사업체”로 정의했다.

요즘도 일본에서 동족적인 다각적 사업체들 가운데 지방에 정착해 지방경제를 좌우할 정도의 영향력을 가진 기업집단을 ‘지방 재벌’로 지칭한다. 단행본 ‘일본의 재벌의 내용을 소개한다.





## 일본 재벌의 탄생과 종류 ##



재벌은 일본 근대화 과정에서 탄생했다. 메이지유신 후 메이지 정부는 ‘부국강병과 산업융성’을 국시로 내걸었다. ‘미국과 유럽을 쫓고, 미국과 유럽을 추월하자’를 슬로건으로 삼아 근대화를 강력하게 추진했다.

일본 정부는 각종 산업은 물론 금융, 정보, 인프라 정비도 서둘렀다. 이런 시대적 흐름을 타고 부를 쌓아 일본경제에 엄청난 영향력을 행사한 주역이 바로 재벌들이다.

재벌은 ‘성립 방식’과 ‘업종 특징’에 따라 3개 군으로 분류된다. 먼저 성립 방식으로 세 종류로 구분한다.

(1) 에도시대의 거상으로서 지위를 유지해 메이지유신 이후 일본 정부의 근대화 정책에 따라 발전한 기업들이다. 미쓰이, 스미토모그룹이 대표 주자다.

(2) 에도시대 말기 또는 메이지 초기에 소규모 사업으로 시작해 20~30년에 걸쳐 재벌로 성장한 그룹이다. 미쓰비시, 야스다, 가와사키, 후루카와, 오쿠라, 아사노 등이다.

(3) 제1차 세계대전 이후 급성장, 군부의 진출에 호응해 성장한 형태다. 니혼산교, 니혼짓소, 니혼소다 등이 대표 그룹이다.



업종별 특징을 기준으로 3개군으로 분류할 수도 있다.

(1) 상업 공업 금융 광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기업을 운영하는 종합 재벌이다. 미쓰이, 미쓰비시, 스미토모이 대표 그룹이다.

(2) 금융업을 주력으로 하는 금융재벌들도 있다. 야스다, 야마구치, 고노이케, 노무라그룹 등이다.

(3) 특정 산업 분야에서 두드러진 활약을 보인 아사노(시멘트), 후루카와(구리 광산 및 금속가공), 가와사키(조선), 니혼산교 니혼짓소 니혼소다(중공업) 등이다.

일본 재벌들은 ‘원래 손을 댔던 업종’이나 ‘발전이 예상되는 업종’에서 첫 사업을 출발했다. 창립 후 사업 전개 방식은 창업자나 경영 후계자의 판단에 따라 크게 달라졌다. 이들 후계 경영자들의 판단이 결국 그룹의 흥망성쇠를 결정지었다.

이들 일본의 재벌은 ‘4대 재벌’ ‘10대 재벌’ ‘15대 재벌’ 등의 숫자로 분류되기도 한다.





## 일본 재벌이 거대한 된 비결 ##



재벌이 거대화한 배경에는 ‘정치 상인(政商)’ ‘광산’ ‘중공업’이 있다. ‘정상’들은 정치권력에 밀착해 비즈니스를 전개하고 사업을 키웠다. 다음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1) 국가의 자금을 위탁받은 특권 기업

(2) 정부 또는 왕실의 대리 상인

(3) 정부로부터 비호를 받은 기업

첫 번째를 대표하는 기업이 미쓰이다. 미쓰이는 미노무라리자에몬 시절 ‘신화폐 교환 업무 대행’을 맡았다. 메이지 정부의 화폐 정책의 일익을 담당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그룹을 키웠다.

두 번째를 대표하는 기업은 오쿠라. 창업자인 오쿠라 기하치로는 대만 출병과 청일전쟁 등에서 병력과 군수 물자의 수송을 맡아 커다란 부를 축적했다.

세 번째는 대표하는 기업이 미쓰비시다. 대만 출병에서 존재감을 발휘해 정부의 신뢰를 얻은 뒤 정부의 지원을 받아 해운업을 독점하고 있다.

하지만 모든 일본 재벌들이 ‘정치 상인’을 배경으로 성장한 것은 아니다. 창업자가 정치상인이라고 해도 후계자가 ‘정치 상인’에서 탈피해 회사를 새롭게 만들었다. 정치상인에서 출발한 재벌들도 광산을 소유하거나 공업화 시대의 파도를 타고 급성장했다.

돈이 넘쳐나는 재벌이라고 해서 결코 평안하고 무사한 시기만 보낸 것은 아니다. 시대의 변화를 좇지 못해 충격을 받고 사라진 재벌도들 많다.

1918년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나자 일본 재벌에 대한 첫 번째 충격파가 왔다. 전쟁 기간 중 일본 기업들은 전쟁 특수를 맘껏 누렸다. 그러다가 전쟁이 끝나자 특수 당시 생산제품들이 대량으로 남아돌게 됐다. 당연히 생산에 투입됐던 자금 회수가 어려워졌다. 많은 재벌들이 경영난을 겪게된다. 전쟁 특수의 반작용으로 공황 상태에 빠졌다.

구하라(久原)재벌은 구하라상사의 도산에 따라 기업 해체에 몰렸다. 후루카와상사의 경영 파탄은 후루카와재벌 전체에 심각한 타격을 입혔다.

1927년 더 비참한 사건이 일어났다. 금융공황이 발생했다. 사태의 발단은 간토대지진의 ‘어음 정리 법안’ 심의중에 시작됐다. 국회에서 대장상(기획재정부장관)의 은행파탄 관련 실언이 단초가 됐다. 많은 시민들이 예금을 찾으려고 은행으로 몰려들어 은행들이 연쇄 파산했다.

공황 상황에서 스즈키상점도 도산했다. 스즈키상점은 한때 미쓰이, 미쓰비시에 필적하는 규모를 자랑하던 재벌이었다. 전후 공황기의 경영 위기를 극복한 재벌들은 승자군으로 살아남았다. 이들은 2차 세계대전 종전 후 미군에 의해 재벌이 공식 해체될 때까지 생존했다.

금융공황 종료 후 재벌들 사이에선 ‘재벌 전향’ 형태로 개혁 작업이 진행됐다. 재벌들에 부가 집중된 결과 사회적으로 고조된 ‘재벌 비판’을 피하기 위해서 였다.



재벌 개혁이 진행되는 동안 신흥 기업진단들도 하나 둘씩 생겨났다. ‘신흥 재벌’로 불리는 기업들이다. 독립된 기업의 주식을 모회사가 소유해 다른 회사를 지배하는 형태다.

제1차 세계대전 후 대약진해 군부의 정책적 지원을 받아 성장한 기업들이 많다. 아이카와재벌(닛산기업연합), 닛치쓰기업연합, 닛소기업연합 등은 중공업에서 큰 존재감을 드러냈다. 기존 재벌과 신흥 재벌들은 일본의 전쟁 수행을 경제, 기술, 물자 공급 등으로 적극 지원했다.

제2차 세계대전이 막바지로 치닫자 연합군은 동양의 작은 나라인 일본이 어떻게 세계를 상대로 전쟁을 벌일 수 있는지 원인 규명에 집중했다. 특히 전쟁 자금원이 어디인지에 관심을 가졌다. 연합군 측의 결론은 “돈 많은 자산가층에 부가 집중됐고, 그들이 전쟁 수행에 협력했기 때문”으로 결론을 내렸다.

종전 후 일본의 재벌 해체가 강행된 배경이다. 재벌을 완전히 없애 일본 경제를 민주화하고, 부의 일극 집중을 막아 일본의 전쟁 수행을 막자는 의도에서였다. 군국주의 일본의 부활을 경제적 측면에서 저지하기 위해 재벌 해체가 진행됐다는 게 일본 측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창업자 일족들이 재벌의 최상위에 위치하고 있다. 그 아래 본사가 직계회사의 주식을 보유하고, 이들 직계회사들이 자회사와 ‘손자회사’들을 거느리는 구조다. 이런 구조로 인해 최정상의 창업자 일족에 부가 집중되고, 배타성이 생기게 된다.

연합군의 재벌 해체 방침에 따라 재벌 본사가 독점했던 주식은 시장으로 흩어지게 됐다. 재벌 본사가 산하기업을 강력하게 지배하던 일본의 재벌 구조도 붕괴됐다. 재벌 관련 기업들도 ‘과도 경제력 집중 배제법’에 따라 분화돼 규모가 축소됐다. 일본 재벌의 해체다.



한경닷컴 최인한 뉴스국장 janu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