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가상통화대책 보도자료 초안이 관세청 사무관의 민간 모바일 메신저 단톡방을 통해 사전 유출된 사건 이후 공무원 전용 메신저로 개발된 `바로톡(barotalk)`에 불똥이 튀고 있다.정부의 내부 보안 메신저인 바로톡이 민간 모바일 메신저보다 기능이나 편의성이 현저히 떨어져 공무원들이 민간 메신저를 즐겨 쓰다가 유출 사고가 난 게 아니냐는 지적이 공직사회 내부에서 나오고 있다.17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바로톡은 2014년 12월 6개 중앙부처 공무원 7천300여 명을 대상으로 시범운영에 들어간 뒤 이듬해 7월부터 전체 중앙부처와 지자체 공무원으로 전면 확대됐다.하지만 정부 차원의 사용 권고에도 올해 12월 기준 바로톡을 등록해 활용 중인 공무원 수는 약 15만3천 명에 그쳤다. 이는 전체 사용 대상자 40만 명(교육공무원 제외)의 38%에 불과한 수준이다.일일 사용자는 접속자를 기준으로 하루 3만5천명선으로 전체 사용 대상자의 8.7% 정도에 그쳤다.정식 서비스 개시 2년 반이 됐는데도 바로톡이 공무원들에게 외면받는 이유로는 카톡 등 민간 모바일 메신저보다 사용하는 데 불편하다는 점이다.바로톡은 카톡과 달리 대화창에서 공유한 문서·사진은 이미지 형태로만 볼 수 있을 뿐 사용자 휴대전화 단말기에는 저장할 수 없다. 여러 보안기술을 적용해 기능에 제한을 뒀기 때문이라는 게 행안부 설명이다.바로톡은 로그인을 할 때마다 4자리로 된 사용자 고유번호를 넣어야 하고, 메신저 로그인 시 백신 프로그램이 가동돼 사용자 입장에서는 앱이 느리게 작동한다는 느낌을 받는다는 것이다.중앙부처에 근무하는 한 공무원은 "바로톡을 깔아놓고 있지만 실제로는 사용하지 않는다"면서 "기능도 제대로 알지 못한다"고 털어놨다.게다가 정부 관련 규정상 공무원들이 모바일로 업무를 볼 때 바로톡을 쓰도록 하는 강제 조항도 없다. 실제로 행안부 모바일전자정부서비스관리지침 등에는 바로톡 사용을 권고만 하고 있을 뿐 사용을 의무화하고 있지 않다.행안부 관계자는 "바로톡 출시 후 기능을 지속해서 개선해 편의성을 높이고 있다"면서도 "여러 보안기술을 적용하다 보니 편의성이 민간 메신저보다 낮은 게 사실이지만, 기능 개선을 위한 예산이 민간 기업에 비해 적은 탓도 있다"고 설명했다.디지털뉴스부한국경제TV 핫뉴스ㆍ허경영, 롤스로이스 타고 ‘하늘궁’ 생활…호화판 뒤 진실은?ㆍ송혜교, 독보적인 은광여고 `3대 얼짱` 시절 미모ㆍ`무한도전` 김태호 PD, 부장 승진했다ㆍ‘강식당’ 오므라이스, 대체 얼마나 맛있으면?ㆍ몰카로 2년 간 `친구 부부 화장실 훔쳐본` 30대ⓒ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