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산연, 분양경기실사지수 개발…10월 전망 서울 87.3 최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난해 11·3 대책부터 올해 8·2 대책까지 연이어 주택시장에 대한 규제강화가 발효된 이후 주택공급시장 여건이 악화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특정 지역·단지를 중심으로 분양경기 호황이 이어지고 관심이 호황지역에 집중되면서 전국의 모든 분양시장 여건이 양호한 것 같은 왜곡된 시장인식이 지속되고 있다고 주산연은 지적했다.
ADVERTISEMENT
주산연 관계자는 “분양시장에 대한 종합적 위험을 판단하고 진단할 수 있는 특화된 지표 개발은 정부가 분양시장을 적정수준으로 규제·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주택사업자의 현명한 분양사업계획 수립 및 주택소비자의 안전한 주택소비계획을 지원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주산연은 이달부터 HSSI를 매달 발표할 예정이다. HSSI는 공급자 입장에서 분양을 앞두고 있거나 분양 중인 단지의 분양 여건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지표로 매달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조사한다. 전국 지수와 지역별 지수, 사업자 규모별 지수, 예상분양률로 구성되고 매달 이달 실적과 다음달 전망을 동시에 조사해 공개한다. 사업자의 지역별 분양사업계획, 분양마케팅 현황도 조사할 계획이다.
ADVERTISEMENT
70선을 보인 지역은 인천(79.6), 경기(77.2), 대구(73.0), 울산(70.4), 세종(70.6), 전남(75.0), 경남(71.9) 지역이다. 그 외 지역은 40~60선을 기록하면서 분양경기가 매우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충남 지역의 경우 HSSI 전망치가 48.5, 충북지역 53.3을 기록하고 있어 충청권에서 주택분양사업을 계획하는 사업자의 경우 분양성에 대한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주산연은 지적했다.
ADVERTISEMENT
주택사업자들이 향후 1년간 유망하게 판단한 지역은 서울(33.3%), 경기(21.1%), 부산(10.0%) 순으로 나타났다. 충청권 지역에서 분양사업이 유망할 것으로 응답한 사업자는 전혀 없었다.
10월 예상 분양률은 서울 지역이 88.7%로 가장 높았다. 하지만 지난 2분기(99.7%)와 비교해 11%포인트 낮아진 수준이라고 주산연은 지적했다. 전국은 68.1%, 수도권 73.3%, 지방광역시 75.1%, 지방도지역 55.9%로 나타났다.
ADVERTISEMENT
전형진 한경닷컴 기자 withmold@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