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4년제 대학 107곳의 특성화를 유도하기 위해 2018년까지 5년간 1조2000억원을 지원하는 대학특성화사업(CK) 중간평가를 앞두고 경희대 중앙대 국민대 가천대 아주대 등 서울·수도권 중상위권 대학에 비상이 걸렸다.

중간평가에서 ‘하위 30%’ 점수를 받으면 지원 대상에서 탈락하기 때문이다. 2014년 사업 선정 때 고배를 마셨던 ‘SKY’(서울대 고려대 연세대) 등 상위권 대학들이 대거 재지원하기로 해 일부 대학은 프라임(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에 이어 CK까지 놓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특성화사업 '중간평가'…떨고있는 중위권 대학들
◆○CK 중간평가 ‘경계령’

교육부에 따르면 9일부터 1주일간 CK 중간 성과를 평가한다. 2014년 7월에 선정된 107개 대학 341개 사업단이 평가 대상이다. 교육부는 평가 결과 하위 30% 사업단을 골라내고, 이들과 새로 사업을 신청한 신규 대학 간 ‘패자부활전’을 7월께 치를 예정이다. 여기서 탈락한 학교는 올해부터 3년간 받기로 한 예산을 못 받는다.

교육부는 2014년 CK 사업 대상을 선정하면서 ‘정원 감축’을 조건으로 내걸었다. 규모에 따라 최대 5점의 가산점이 주어졌다. 소수점 한 자리 차이로 당락이 결정됐다는 점을 감안하면 결정적인 조건이었던 셈이다. 이에 따라 정원을 감축하지 않겠다고 한 고려대 연세대는 아예 탈락했고, 건국대 동국대 이화여대는 1개 사업단, 서울대는 2개 사업단만 선정됐다. 그간 대학 재정지원 사업 불패를 기록했던 서울 상위권 대학들이 대거 탈락한 터라 당시 대학가에선 이변이라는 평가를 내놓기도 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패자부활전에선 대학 평가시 A등급을 받은 'SKY' 등 상위권 대학은 정원 감축을 하지 않아도 감점이 없다"며 “2014년에 운이 좋았던 중상위권 대학들은 이번에 ‘SKY’ 등 강자들과 경쟁해야 한다”고 말했다. 국민대(6개 사업단) 아주대(6개) 가천대(6개) 상명대(4개) 중앙대(3개) 인하대(3개) 등 처음 선정 때 ‘행운’을 잡은 대학들이 위태로울 수 있다는 얘기다. 수도권 대학 관계자는 “BK(두뇌한국)21 사업 선례를 보면 중간평가에서 탈락했다가 패자부활전에서 재진입한 곳은 거의 없다”고 말했다.

◆대학 생존의 화두는 ‘특성화’

대학가에선 지난 3일 발표된 프라임 사업 선정 결과와 CK 중간평가 간 연관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 프라임 사업 자체가 백화점식 종합대학을 지양하고 대학별로 특화된 분야에 집중하도록 학과를 구조조정하라는 것으로 CK 사업에 대한 중간평가 성격이 짙다는 이유에서다. 실제 영남대(8개) 건양대(7개) 경북대(7개) 호남대(6개) 원광대(5개) 등 CK ‘다관왕’들이 ‘프라임 티켓’도 거머쥐었다. 프라임 사업에 선정된 21개 대학 중 CK 명단에 들지 못했던 대학은 인제대와 숙명여대 두 곳뿐이다.

이에 따라 CK 예산을 받았으나 프라임에 지원했다가 탈락한 대학들이 이번 중간평가에서 혹독한 평가를 받을 것이라는 게 교육부와 대학가의 예상이다.

중앙대 국민대 경희대 인하대 가천대 등이 위험군으로 거론되고 있다. 지방대 중에선 안동대가 CK에서 3개 사업단에 선정됐으나 프라임 사업에선 1차 서류 심사에서 탈락했다.

2014년 첫 번째 선정 때 많은 예산을 받았던 대학들 역시 ‘수성’할 곳이 많다는 점에서 불안하기는 마찬가지다. 충남대 전북대 영남대는 전체 대학 중 가장 많은 70억원씩의 예산을 배정받았다. 이어 충북대(63억원) 경북대(60억원) 전남대(59억원) 부산대(52억원) 등 지방대가 상위권을 싹쓸이했다. 서울·수도권에선 한양대 성균관대 국민대 등이 연간 40억원가량씩 받기로 하는 등 혜택 폭이 컸다.

교육부 관계자는 “CK 사업이 지역수요와 연계한 대학 특성화에 초점을 맞춘 터라 상대적으로 지방대에 예산이 많이 배정됐다”며 “중간평가에서도 이 같은 기조가 유지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지방보다는 서울·수도권 대학에서 사업자 교체가 주로 이뤄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 대학특성화(CK) 사업

지역사회 수요에 기반을 둔 강점 분야에 특성화하도록 대학을 유도하기 위해 정부가 재정을 지원하는 사업. 2014~2018년 5년간 총 1조2000억원이 집행된다. 지방 79개 대학 264개 사업단, 수도권 28개 대학 77개 사업단이 선정됐다.

박동휘 기자 donghui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