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형 조선 3사의 차입금 규모가 5년 새 2배 이상으로 불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불리한 수주계약 방식 때문이다.

8일 업계에 따르면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현대중공업(현대미포·현대삼호 포함)의 차입금 규모는 2010년 말 10조 원에서 작년 말 23조9000억 원으로 5년 새 14조 원 가까이 불었다.

대우조선해양이 이 기간 2조5000억 원에서 7조9000억 원으로 3배 이상으로 늘었고, 삼성중공업은 2조4000억 원에서 4조7000억 원으로, 현대중공업은 5조2000억 원에서 11조4000억 원으로 각각 두 배 수준으로 커졌다.

이같은 차입금 규모 증가는 조선사에 불리해진 수주계약 관행 변화 때문이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만 해도 선박 건조 단계에 따라 선주로부터 선박대금을 균등히 지급받는 계약이 주를 이뤘다.

그러나 금융위기 이후 해운업 및 조선업 동반 침체로 수주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선박을 선주에게 인도하는 시점에 대금의 절반 이상을 지급받는 계약(헤비테일 방식)이 보편화됐다.

조선사가 배를 건조하려면 돈이 필요한데 선주로부터 중간중간 충분한 자금이 들어오지 않다 보니 운영자금이 부족하게 돼 차입금을 늘릴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선주가 중간에 발주를 취소하면 재무적인 부담이 훨씬 가중될 수밖에 없는 구조다.

대우조선해양이 자금난에 처해 채권단으로부터 4조원대의 대규모 자금을 공급받게 된 것도 부실 경영 외에 이런 불리한 수주 방식이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평가된다.

금융권에서도 이같은 헤비테일 수주 방식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개선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다만 헤비테일 방식이 국제 관행처럼 굳어져 바뀌기 어려울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한경닷컴 뉴스룸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