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값 8년 만에 최대폭 상승…제주·나주·구례·대전이 끌어올렸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난해 전국 2.4% 올라
62개월 연속 '상승 행진'
거래량도 작년보다 16% 늘어…손바뀜 가장 많은 곳은 세종
수도권보다 지방이 더 올라
구례, 전원주택 개발·귀농 수요…대전 유성, 과학벨트 조성 효과
62개월 연속 '상승 행진'
거래량도 작년보다 16% 늘어…손바뀜 가장 많은 곳은 세종
수도권보다 지방이 더 올라
구례, 전원주택 개발·귀농 수요…대전 유성, 과학벨트 조성 효과


ADVERTISEMENT
수도권 중 서울(2.69%) 땅값은 전국 평균 상승률을 웃돌았으나 경기(1.73%)와 인천(1.95%)은 전국 평균을 밑돌았다. 지방에선 외부 인구가 꾸준히 유입되고 제2공항 건설 계획이 발표된 제주가 7.57% 급등했다. 전국 최고 상승률이다. 3년 연속 1위를 달렸던 세종(4.57%)을 큰 격차로 따돌렸다. 이어 대구(4.06%)가 상승률 3위에 올렸다.
시·군·구 중에서는 제주 서귀포시(7.97%)가 제2공항 건설 추진, 혁신도시 개발 등의 영향 등으로 가장 많이 올랐다. 구좌읍 조천읍 등 제2공항 인근 투자 수요가 늘어난 제주시 땅값도 7.32% 뛰었다. 광주·전남혁신도시가 들어선 전남 나주시(5.33%)와 전원주택 개발 및 귀농수요가 늘어난 전남 구례군(5.11%), 과학벨트가 조성되는 대전 유성군(5.0%)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강화군(0.55%)은 도서지역 농지거래 감소 등 영향으로 가장 낮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ADVERTISEMENT
지난해 연간 토지 거래량은 총 308만7000여필지(2181㎢)로 2014년보다 16.8% 늘어났다. 서울 여의도 면적(윤중로 둑 안쪽 2.9㎢)의 752배에 달하는 규모다. 건축물 부속토지를 제외한 순수 토지 거래량도 12.3% 늘어난 112만필지(2014㎢)에 달했다. 지역별 토지 거래량은 세종(증가율 77.5%), 서울(36.0%), 경기(27.5%), 인천(25.1%) 순으로 증가폭이 컸다.
어명소 국토부 토지정책과장은 “저금리와 규제 완화 등의 영향으로 토지 거래가 활성화되고 있다”며 “개발 수요가 많아 땅값 상승률이 높은 지역에 대해선 상시 점검시스템을 가동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진수 기자 true@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