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감독당국이 채권단에 부실위험이 높은 대기업에 대한 정리를 연내에 마무리 해달라고 주문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채권단간 이해관계와 주변 여건 등이 엇갈리며 조속한 마무리가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보도에 김정필 기자입니다.



<기자>

STX와 동양그룹 사태로 부실징후 대기업에 대한 당국과 채권단의 관리감독, 자구안 요구가 한층 거세지고 있습니다.



동부그룹이 납득할 만한 자구안을 내놓으며 시장의 우려를 불식시키자 쌍용건설, 한진해운, 현대상선 등 여타 기업에게도 암묵적인 가이드라인이 되고 있는 이유에서입니다.



내년에 만기가 돌아오는 부실징후 기업들의 회사채와 CP 규모는 3조원대로, 연내에 어느 정도 구조조정에 대한 윤곽이 마련돼야 한다는 당국의 입김도 작용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금융감독원 관계자

“당국이 향후 기업추진 방향 이야기 하면서 해당기업과 채권단에 이야기 하고 있고 채권단들은 자기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기업들과 접촉하고 있는 것이 사실”



채권단들도 부실징후 기업의 알짜 자산매각과 오너의 사채출연 등 자구안을 연내에 제시해야 한다며 자금지원과 지급보증 등을 앞세워 해당 기업들을 압박중입니다.



문제는 채권단 상호간에 이해관계가 맞물리고 있어 타협점을 찾기가 생각만큼 쉽지 않다는 점입니다.



다수의 채권단은 당국의 개입 하에 일정 부분 부실을 털고 가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일부 채권단은 부실채권 목표비율 등의 어려운 상황 등을 들어 난색을 표명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채권은행 관계자

“은행들도 이해관계가 서로 다르다, 자기가 얼마나 익스포저 있느냐에 따라 채권은행단 뿐 아니라 공제회 같은 비협약 채권자들도 있기 때문”



채권은행만의 문제라면 여신 부행장 회의 등을 통해 당국이 조정 역할에 나설 수도 있지만 공제회나 외국계은행 등 비협약 채권단이 끼어있는 경우 이야기가 또 달라집니다.



당국이 채권단과 공제회간 중재에 나선 쌍용건설이 대표적인 예로 향후 부실기업 정상화와 관련해 비협약 채권단의 자금 회수 문제는 언제든 불거질 수 있는 변수입니다.



여기에다 이달 31일 만기가 되는 기촉법 연장 여부가 불분명해 부실징후 기업들과 이들을지원하는 채권단의 어려움이 가중될 우려마저 상존하고 있습니다.



재무가 부실한 기업들의 부채비율이 금융위기 이후 최고에 달하며 은행들의 건전성마저 우려되는 만큼 선제적인 구조조정이라는 대전제에는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추가지원이냐 채권회수냐 등 한 쪽은 손해를 감내해야 하는 상황에서 채권단간 이해관계 상충, 법적근거 마련이 차일피일 미뤄지며 과감한, 선제적인 구조조정을 더디게 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김정필입니다.


김정필기자 jpkim@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ㆍ장윤정 엄마 편지, 임신소식에 제산세·개사진 올려 "너같은 딸 낳길"(전문)
ㆍ[단독입수] 정형돈 쌍둥이돌잔치, 유재석 사회에 눈물까지 흘린 사연은?
ㆍ열심히 운동해도 살이 안빠지는 이유.. 이것때문?
ㆍ추사랑 좌약 처방 후 3일만에 변비 탈출 "축하해요~"
ㆍ철도노조 총파업 돌입‥박근혜 정부 첫 공기업 파업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