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부, 4천100억원 투입

각종 영상 콘텐츠 중 3D 제작 비중을 2015년에는 20%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정부의 움직임이 가시화한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지난달 이명박 대통령 주재 '제4차 국가고용전략회의'에서 논의된 '3D산업분야 발전전략'을 뒷받침하기 위해 3D 콘텐츠 산업 육성계획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19일 말했다.

문화부는 3D와 관련한 IT인프라나 기기 등의 기술 수준에 비해 경쟁력이 취약한 3D 콘텐츠의 제작 역량을 조기에 육성함으로써 국산 콘텐츠 부족으로 국내 시장이 외국산 3D에 잠식되는 일을 막고자 이번 계획을 수립했다고 덧붙였다.

이를 위해 문화부는 ▲3D 콘텐츠 기반 구축 ▲3D 콘텐츠 제작 활성화 ▲기술개발 역량 강화 ▲글로벌 시장 진출 확대를 4대 중점 전략 과제로 설정하고 이에 4천100억원을 투입해 3D 콘텐츠를 활성화할 계획이다.

세부적으로는 영세한 업체가 개별적으로 갖추기 어려운 고가의 3D 장비를 공동 활용할 수 있도록 2013년까지 200억원을 투입, 한국콘텐츠진흥원(한콘진)에 3D 제작스튜디오와 포스트 제작 시설을 확충하고 영화진흥위원회(영진위)에는 3D 영화의 성능을 검증하고 제작기술을 현장에 보급하는 테스트베드를 구축할 계획이다.

또 한콘진에 S&G(Stereoscopy & Graphics) 트레이닝 센터를 구축하고 일반 2D 영상의 3D 변환 인력을 양성하는 과정을 영진위 아카데미를 통해 운영하는 한편, 산학 협력을 통해 채용을 전제로 인력을 양성할 대학에 관련 학과 개설을 지원해 매년 2천여명의 전문 인력을 양성해나갈 방침이다.

아울러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공동으로 차세대 핵심 콘텐츠를 개발하면 정부가 제작비 일부를 지원하는 민관 합동 방식의 콘텐츠 생태계 프로젝트가 예정대로 추진되도록 3D 콘텐츠 투자 상생협의회도 구성한다.

나아가 3D 콘텐츠 전문펀드를 1천억원 규모로 조성하며 3D 콘텐츠 제작의 조기 활성화를 위해 영화, 방송, 게임 등 3D물의 제작, 배급, 수출에 연간 120억원씩 지원하기로 했다.

다시점 3D 영상, 3D 자동변화 기술 등 3D 기반기술 개발에는 2015년까지 1천200억원을 투입해 선진국과의 기술 격차를 현재의 3-5년에서 1-2년으로 좁히고 차세대 영상 기술로 주목받는 홀로그램과 오감체험형 콘텐츠 기술 개발에도 450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또 3D 보급의 걸림돌인 시각적 피로감 등 이른바 '휴먼팩터'에 대한 연구도 추진하고 2011년부터 3D 콘텐츠 품질 인증제를 시범 도입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할리우드의 영화를 3D로 전환하는 우수 프로젝트를 수주하면 프로젝트당 10억원을 지원하고 외국 기업과의 공동 제작물에 참여하면 제작비 일부를 지원해주는 한편, 3D 영상페스티벌도 개최하기로 했다.

G20(주요20개국) 정상회의 기간 이뤄질 예정인 3D TV 실험방송 때는 태권도와 전통무용 등을 3D로 제작, 선보일 예정이다.

문화부는 이번 계획 추진으로 2015년까지 1만5천명의 일자리와 2조5천억원 규모의 시장이 창출될 것으로 내다봤다.

(서울연합뉴스) 경수현 기자 eva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