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노총 금속노조 현대차지부가 4 · 28 총파업에 참여치 않기로 결정했다. 현대차 노조가 지난 주말 조합원 찬반투표를 실시한 결과 파업 찬성률이 38%에 그쳐 참여가 무산된 것이다. 이에 따라 민노총의 총파업 동력도 크게 약화될 수밖에 없게 됐다.

고무적인 소식이다. 이번 총파업 참여 거부는 강경투쟁의 대명사이자 금속노조 파업의 선봉역할을 해온 현대차 노조가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까닭이다. 물론 노동운동 전반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게 틀림없다. 노동계에서는 이번 투표 결과에 대해 올해 임금협상이 아직 시작되지 않은데다, 정부가 4 · 28 총파업을 불법으로 규정했고, 정치성 파업에 대한 거부감, 천안함 사태에 따른 사회 분위기 등을 원인으로 거론하고 있다고 한다.

특히 1987년 현대차노조 출범 이후 처음으로 파업 찬성률이 40%에도 미치지 못한 것은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지난해 15년 만의 무분규 임금협상을 이뤄내는 등 최근 고조되고 있는 노사화합 무드를 그대로 드러내주는 셈이다. 강경 투쟁 노선을 고수 중인 민노총으로서는 곤혹스런 입장일 수밖에 없다.

사실 민노총의 4 · 28 총파업 계획은 애초부터 무리하기 짝이 없는 것이다. 민노총이 내건 10대 대정부 요구 사항은 공무원노조와 전교조 탄압 중단, 최저 임금을 전체 노동자 임금의 50%로 올릴 것, 의료민영화 저지, 4대강 사업 중단 등 근로조건과는 상관없는 정치적 사안들이 대부분이다. 물론 노조 전임자 임금지급 금지 문제와 관련, 근로시간면제심의위원회에서 노조 측에 유리한 결정을 이끌어내기 위한 압박 전술이라는 분석도 있다. 하지만 근면위에서 정해진 절차에 따라 의견을 개진하고 결과에 승복하는 게 옳지 총파업을 무기로 협박을 가하는 것은 누구의 공감(共感)도 얻기 어렵다.

민노총이 아직도 불법 파업 등 강경 일변도 투쟁에 매달리고 있는 것은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다. 일선노조의 민노총 탈퇴가 줄을 잇고, 제3의 노동운동을 추구하는 세력이 저변을 넓혀가는 것을 목격하면서도 파업 만능의 논리에서 빠져나오지 못한대서야 말이 되겠는가. 현대차노조의 총파업 거부는 민노총이 다시 한번 스스로를 성찰하는 계기가 돼야 마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