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가 결국 총파업을 결의함으로써 물류대란이 가시화되고 있다.

협상이 타결되지 않으면 13일부터 전면적인 운송거부에 들어간다는 것이다.

이미 울산의 현대차 카캐리어분회가 파업에 돌입하는 등 일부 지역에서 운송거부 사태가 빚어지고 있는 실정이고 보면 그렇지 않아도 휘청거리는 우리 경제가 직격탄을 맞지 않을까 심각하게 우려(憂慮)하지 않을 수 없다.

협상 전망도 밝지 않다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정부가 지난 8일 고유가 대책을 내놓고 경유 ℓ당 1800원 기준으로 가격 상승분의 50%를 지원키로 했음에도 화물연대는 실효성이 없다며 반발,운송료 현실화와 면세유 지급 등의 요구수위를 낮추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그들이 처한 딱한 사정이 이해되지 않는 건 아니다.

경유값이 지나치게 올라 채산성이 극도로 악화된 상태로 지금의 운송비로는 운행원가조차 건지기 어렵다는 주장이 일리있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화물연대 파업으로 물류가 마비된다면 이는 경제 자체가 올스톱되는 충격을 피할 수 없다.

그에 따른 엄청난 손실은 가늠하기조차 어렵다.

수출 상품의 선적 차질,제조업 전반의 생산과 납기 지연 등에 따른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날 것은 불 보듯 뻔하다.

무역협회는 화물연대 파업과 다른 트럭들의 운송까지 방해받을 경우 하루에 최대 10억달러의 경제적 손실을 입을 것으로 추산했을 정도다.

무엇보다 이런 상황까지 빚어진다면 화주인 수출업체 등의 경영이 더욱 악화될 수밖에 없고,결국 화물차주 자신들에게 오히려 더 큰 피해가 돌아가게 될 것은 굳이 설명할 필요도 없다.

고유가의 충격에 따른 고통을 경제주체 모두가 분담한다는 자세로 당사자들이 보다 적극적인 협상노력을 기울이고,화물연대는 스스로 집단행동을 자제해 물류가 멈춰지는 최악의 사태만은 피해야 할 이유다.

정부 또한 화물연대가 총파업에 들어갈 경우에 대비한 대체운송수단 확보와,화물연대에 속하지 않은 트럭에 대한 운송방해행위를 철저히 차단하기 위한 만반의 대책을 강구하지 않으면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