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생(相生)협력이 더욱 강화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전경련과 산업자원부가 최근 개최한 '2007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국제 컨퍼런스'에서도 참석자들은 한목소리로 상생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나눠먹기식이 아니라 새로운 파이를 만드는 성과창출형 협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한다.

사실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협력이 얼마나 절실한지는 새삼 설명할 필요조차 없다.

중소기업은 제품을 구매해 줄 대기업이 없으면 생존 자체부터 힘들게 마련이고 대기업 역시 협력업체들의 튼튼한 뒷받침이 없다면 국내외 시장에서 경쟁업체들을 이겨내기 어렵다.

기술이전 인재파견 등을 통해 중소기업 수준을 끌어올리는 것은 국가경쟁력 제고 차원에서도 큰 보탬이 된다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실제적으로도 대·중기 상생협력은 최근 크게 활성화되고 있는 추세다.

전경련 분석에 따르면 올해 상생협력 규모는 2조원 선에 이르러 지난해보다 3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한다.

삼성전자 현대차 포스코 등 내로라 하는 대기업들이 앞다퉈 거액의 예산을 책정하면서 적극적으로 중소기업 지원에 나선 결과다.

협력의 형태도 공동 기술개발, 임직원 파견, 판매망 공유, 설비투자 및 원자재 구입자금 지원 등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다.

정부도 전담 위원회를 설치하는 등 큰 관심을 보이고 있는 만큼 상생협력은 앞으로 더욱 활성화될 게 틀림없다.

하지만 분명히 해두지 않으면 안될 게 있다.

이번 국제 컨퍼런스에서도 지적됐듯 상생협력은 나눠먹기 식이 아니라 새로운 시장 창출을 통해 서로 윈-윈하는 형태가 돼야 한다는 점이다.

단순히 대기업의 파이를 나눠주는 수준에 머무른다면 중소기업의 대기업 의존이 더욱 심화되는 것은 물론 원천기술을 가진 혁신형 중소기업 육성도 그림의 떡에 그칠 수밖에 없다.

때문에 정부도 기업들의 사적인 영역에 지나치게 개입하는 일은 자제해야 한다. 대기업들에 일방적 희생(犧牲)을 강요하며 무리한 부담을 안긴다면 투자의욕만 떨어뜨리는 부작용을 낳을 뿐이다.

기업간 협력은 업계 스스로의 필요성에 따라 이뤄질 때 가장 효율적이다. 상생협력에 적극적인 관심을 가지되 자율성을 최대한 존중함으로써 시장친화적 협력모델이 뿌리내릴 수 있도록 유도해 나가야 한다는 이야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