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를 낳고 나서 먹는 미역국은 이 땅의 어머니들에게 축복의 음식이나 다름없다. 또한 미역국은 탄생이라는 속뜻을 내포하고 있기도 하다. 그런 까닭에 산모에게 주는 미역을 살 때는 절대 가격을 깎는 법이 없다. 수명과 관계된다는 믿음에서다. 미역을 다룰 때도 중간을 꺾거나 자르지 않는데 "산고(産苦)를 덜 느끼고 아이를 낳으라"는 기원이 깃들어 있어서라고 한다. 산모의 미역국을 끓일 때는 살생(殺生)을 피한다는 뜻에서 고기 대신 말린 홍합을 넣을 정도였다. 한국인들에게 이토록 각별한 미역국인데도 부정적 의미로 회자되곤 한다. '미역국을 먹었다'는 시험에 떨어지고 시합에서 진 경우를 비유하는 말로 통용되기 때문이다. 이유는 확실치 않으나 아마도 '미역'이 미끈미끈해서 그것을 먹으면 '미끄러진다'는 생각에서가 아닌가 추측할 뿐이다. 1957년에 간행된 우리말 '큰사전'에는 지금 사전과는 달리 '미역국을 먹다'에 대한 뜻풀이가 있다. "무슨 단체가 해산이 되거나 또는 어디에서 떨려남을 이르는 변말(은어)"이라고 하는데,이는 구한말 일제가 조선군대를 강제 해산시킨 사건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군대해산이라는 놀라운 일을 당한 우리 국민들은 '해산(解散)'이라는 말을 직접 쓰지 못하고 동음인 '해산(解産)'을 사용하면서 그 의미를 대신한 것으로 보고 있다. '미역국을 먹다'가 '해산 당해 떨려나다'는 은어가 되고,급기야 이 '미역국'은 시험에서 떨어지는 '낙제국'으로 변모된 것 같다. 이런 속설에도 아랑곳없이 미역국은 여전히 인기있는 음식으로 남아 있다. 얼마전 삼성에버랜드가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구내식당의 메뉴 중, 미역국에 대한 선호도가 연령·직급에 관계없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난 것만 봐도 그렇다. 이것은 아마도 미역국으로 산후조리를 하고 모유를 만든 어머니에 대한 정서가 우리 가슴 한켠에 아련히 자리잡고 있어서일지도 모른다. 아무 근거없는 미역국에 대한 편견은 이제 떨쳐버려도 좋을 성 싶다. 박영배 논설위원 youngba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