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서울 불광동 식품의약품안전청 정문 앞.서울환경연합 회원 10여명이 피켓을 들고 식약청의 의약품에 대한 방부제 사용기준 강화를 촉구하는 집회를 가졌다. 이들은 "시중 자양강장제 소화제 등 드링크 제품에 방부제 성분인 '안식향산나트륨'이 기능성음료보다 2배가량 많이 함유돼 있다"며 "이는 식약청이 느슨한 기준을 적용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일양약품의 원비디,영진약품의 구론산바몬드 등 회사와 제품명을 구체적으로 거론하며 이들 제품의 안식향산나트륨 수치를 발표했다. 이에 대해 식약청은 즉각 "우리나라 방부제 사용 기준은 선진국과 비슷한 수준"이라고 반박했다. 시민단체와 관계당국이 이런 논쟁을 벌이는 가운데 실명이 거론된 기업들은 '벙어리 냉가슴 앓듯' 아무런 말도 못하고 사태를 지켜보는 수밖에 없다. 정부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품을 만들었음에도 불구하고 혹시 제품판매에 불똥이 튀지 않을까 우려해서다. 이날 방부제 문제를 제기한 서울환경연합은 지난 13일 광동제약의 '비타500' 등 기능성 음료의 방부제 함유량이 유럽연합(EU)의 기준치를 최고 2배 가까이 넘어섰다고 일방적으로 밝혀 큰 논란을 일으켰다. 당시 해당업체들은 국내 기준 충족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한마디에 따라 주가가 곤두박질치는 등 큰 곤욕을 치렀다. 이 단체가 문제가 있다고 제기한 국내 기준은 일본과 거의 비슷하고 미국보다는 오히려 훨씬 강화된 내용이었다. 앞서 지난 7월엔 소비자시민의모임이 일동후디스의 이유식 제품에서 잔류 농약성분이 검출됐다고 밝혀 이 회사는 매출추락은 물론 이미지 손상을 감수해야 했다. 그러나 최근 식약청 조사 결과 이 제품에 잔류 농약성분이 들어있지 않다는 것이 확인됐다. 소비자 권익 보호라는 시민단체들의 활동엔 공감을 표하는 여론이 높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법적기준을 준수하는 기업과 제품을 '희생양'으로 동원하는 활동에는 의문을 표시하는 목소리가 훨씬 더 크다. 이미 '우지라면 파동'이나 '쓰레기만두 사건'에서 여론몰이식 한건주의의 폐해가 얼마나 큰지 국민들이 인식하고 있는 까닭이다. 임도원 과학기술부 기자 van769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