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송역 인근을 포함한 중심 지역이 택지지구에서 빠진 것은 토지를 수용하는 데 드는 비용 부담이 크기 때문인 것으로 주민들은 보고 있다.


현지 중개업소에 따르면 대부분 그린벨트로 묶인 삼송지구의 논·밭은 평당 50만~60만원,주택지는 평당 200만~300만원 선에서 시세가 형성돼 있다.


신도시 개발 발표가 나온 이후 최소 20~30%씩 시세가 올랐다.


하지만 삼송역 인근은 주택지가 평당 400만~500만원 선 이상이어서 사업 시행기관인 한국토지공사가 수용하려면 몇 배의 비용을 더 들여야 한다.




< 판교급 신도시 개발계획이 세워진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삼송택지지구 범위에서 제외된 지하철 3호선 삼송역 일대 전경./ 허문찬 기자 sweat@hankyung.com >


이에 대해 토공측은 "삼송역 인근이 제외된 것은 지구 범위를 결정할 때 이미 그린벨트(개발제한구역) 우선 해제지역으로 지정돼 있었기 때문"이라며 "수용 비용이 과다하다는 이유만은 아니었다"고 해명했다.


건설교통부 국민임대주택기획단 관계자는 "그린벨트 내에 조정가능 구역이 제한적이었기 때문"이라며 "삼송역 인근은 이미 어느 정도 개발이 진행된 상태여서 굳이 지구에 포함시킬 필요도 없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논리는 설득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부동산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먼저 그린벨트 우선 해제지역은 삼송역 인근의 10여만평에 불과해 나머지는 얼마든지 지구 범위 안에 넣을 수 있었다.


결국 토지수용 비용이 이유였다면 판교급 신도시로 개발하겠다는 정부의 의지에 회의를 가질 수밖에 없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수도권 남부와 북부를 다르게 취급하는 것 아니냐는 '차별 논란'까지 예상된다.


판교신도시 역시 과거 '남단 녹지'로 묶인 사실상의 그린벨트 지역이 많았지만 토공은 평당 최고 960만원의 가격으로 대부분의 토지 수용을 마쳤다.


반면 표준지 공시지가를 기준으로 한 수용가격이 아직 결정되지는 않았지만 평당 수용가격이 판교의 절반 수준을 넘기 힘들 것으로 보이는 삼송지구는 비용으로 인해 핵심 지역을 빼버리는 꼴이 됐기 때문이다.


박재룡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현재 상태로 개발이 진행되면 삼송지구는 정부가 의도했던 판교급 신도시는 고사하고 강북 수요도 제대로 충족시키기 힘들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한편 삼송역 인근 주민들은 현재 이해 관계에 따라 '지구 범위 안에 넣어 달라'와 '그럴 수 없다'는 상반된 주장을 하고 있다.


하지만 토공은 이미 법적 절차가 끝난 상태여서 삼송역 인근을 다시 지구 범위 안에 넣기는 힘들다는 입장이다.


삼송지구는 빠르면 내년 6~7월께 보상 협의가 시작돼 오는 2007년 하반기쯤 분양이 이뤄질 전망이다.


서욱진·이상은 기자 ventur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