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와 출산율 저하로 세계 각국이 노동력 감소문제에 직면한 가운데 일본에서는 60세 이상의 나이 든 인력을 고용해 노동력 부족을 해결하는 기업들이 점차 늘고 있다고 아시안월스트리트저널이 15일 보도했다. 일본 기업들이 이처럼 앞장서 나이 든 인력 활용에 나선 것은 어느 나라보다도 일본의 인구 고령화 현상이 심각하기 때문이지만 다른 나라들 역시 머지않아 일본의 사례를 뒤따를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신문은 지적했다. 일본은 불과 20년전만 해도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비율이 10%에 머물렀지만 2006년이면 그 비율이 20%로 높아질 전망이며, 이탈리아도 2006년, 독일은 2009년에 65세 이상 인구의 비율이 20%에 달할 전망이다. 출산율이 비교적 높고 이민자가 많은 미국은 좀 더 먼 2036년에 65세 이상 인구비율이 20%에 이를 전망이지만 노령인구를 위한 사회보장제도의 유지는 벌써부터 큰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일본의 노령 인력 활용 시도가 성공할 경우 이는 다른 나라들에게도 노동력 부족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정책을 제시해줄 것이란 기대가 일고 있다. 일본에서는 현재 공식 퇴직 연령이 60세임에도 불구하고 그 이후까지 일하려는 사람들이 많아 60-64세 인구의 취업률이 71%에 달하는 것으로 국제노동기구(ILO)는 집계했다. 이는 미국의 같은 연령대 취업률 57%, 프랑스의 17%보다 훨씬 높은 것이다. 바람직한 퇴직 연령이 몇 살인지를 묻는 질문에 대해서도 일본인들은 72%가 65세, 또는 70세 가량이라고 답한 반면 미국이나 독일, 스웨덴인들은 대부분 60세 또는 65세 가량이라고 응답했다. 일본 정부는 이에 따라 오는 2013년까지 기업 정년을 60세에서 65세로 높이거나 퇴직자들을 재고용하도록 의무화하는 법률을 지난해 제정했다. 물론 대기업을 중심으로 퇴직연령을 늦추는데 대한 반발도 예상되지만, 일본에서는 젊은 인력을 구하기 힘든 지방 중소제조업체 등을 중심으로 나이 든 노동인력을 적극 활용하는 사례가 꾸준히 늘고 있다. 인력난에 허덕이던 지방 중소제조업체들은 채용공고를 보고 몰려드는 노령 인력들에 만족해하고 있으며, 나이 든 직원들의 임금이 정규직원의 3분의 2 수준인 점을 감안하면 작업 능률이나 직무 헌신도 등은 비교적 높아 공장 설비들을 노인들에 알맞게 바꾸는 사례들도 많아지고 있다. 또 뒤늦게 일자리를 찾은 노인들도 대부분 `부부 싸움이 적어졌다', `건강에 이롭다' `일을 하는게 즐겁다'는 등의 긍정적인 반응들을 보이고 있다고 신문은 소개했다. 미국에서도 고령화추세를 감안, 사회보장 수혜를 받는 퇴직연령을 점진적으로 늦춰 궁극적으로는 69세 이상으로 하는 입법안이 상원에서 공화당 중심으로 검토되고 있다고 워싱턴포스트가 14일 보도했다. 현행 법상으로는 사회복지 전액 수혜대상 퇴직연령이 65.5세이지만 1960생 이후의 경우 67세로 늦추고, 20년후에는 69세로 더 뒤로 미루는 법안 초안이 지난주 상원 공화당의원들 사이에 회람됐다고 신문은 전했다. (서울=연합뉴스) lkc@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