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기술의 발달과 평균수명의 증가로 노인 인구가 갈수록 늘어가고 있다. 한국은 작년 말 현재 65세 이상 노령인구 비율이 7.9%로 국제연합(UN)의 고령화사회 기준인 7.2%를 넘었다. 2019년에는 노령인구 비율이 14.4%로 치솟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처럼 고령화시대에 본격 진입했지만 노후는 불안하기 짝이 없다. 한 달여전 개최된 '실버취업박람회'에는 하루 1만5천명의 방문객이 몰릴 정도로 북새통을 이루었고 KDI 보고서는 국민연금기금이 현 제도를 그대로 유지할 경우 2047년에 재정이 완전 고갈될 것으로 전망하기도 했다.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의 평균수명은 75.9세로 길어졌다. 이에 반해 몸이 아프지 않고 정상생활을 할 수 있는 '건강수명'은 66세로 떨어졌다고 한다. 결국 10년 동안은 질병으로 고통 받으며 살아간다는 얘기다. 실제로 노령 인구가 늘면서 의료비 지출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1990년만 해도 노령인구의 의료비 지출은 1천6백21억원에 불과했다. 하지만 95년 4천8백92억원으로 5년사이 3백20%나 증가했으며 2000년엔 무려 1조5천8백21억원으로 10년만에 10배 가까이 늘었다. 이렇게 보면 평균수명의 증가는 꼭 반가운 현상만은 아니다. 경제적 능력이 뒷받침되지 않는 노후생활은 오히려 불행쪽에 가까울 수도 있기 때문이다. 특히 노후에 질병에 걸려 장기간 치료를 받게 되면 본인 뿐 아니라 가족까지 경제적 부담을 느끼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때문에 노후는 미리부터 준비해야 한다. 노후를 대비하기에 가장 적합한 금융상품으론 보험이 꼽힌다. 보험은 80세 또는 사망시까지를 보장하는 장기상품인 데다 저축기능 및 위험보장 기능도 함께 갖춘 장점이 있다. 노후생활은 크게 보면 건강과 소득 측면에서 불안요소를 안고 있다. 노인들은 질병이나 상해 위험이 젊은 사람들에 비해 높은 반면 회복에 이르기까지는 긴 시간을 필요로 한다. 의료비 지출이 높을 수 밖에 없는 상황인 것이다. 더구나 최근들어선 장기 간병 문제가 심각한 사회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하지만 고령인구의 소득구조는 극히 취약한 형태를 보이고 있다. 한국의 경우 고령인구의 29%가 경제활동을 하곤 있지만 대부분 농ㆍ어ㆍ축산업에 종사하고 있다. 고위 임직원이나 전문가 등 사회적 지위나 수입이 높은 직종 종사자는 극소수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같은 건강 관련 위험과 소득 관련 위험에 대해 차근차근 준비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보험은 하루라도 일찍 가입하면 그만큼 보험료 부담이 적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노후자금마련을 위한 상품으론 개인연금보험과 변액연금보험을 들 수 있다. 두 상품 모두 가입 후 7년 이상 유지하면 보험차익에 대해 세금을 한 푼도 물지 않는 비과세혜택이 있다. 하지만 내년부터 가입할 때엔 계약을 10년 이상 유지해야만 비과세혜택을 받게 된다. 따라서 이들 상품 가입을 고려하고 있다면 가입시기를 올해안으로 잡는 것이 유리하다. 세제적격 연금보험(신개인연금보험)은 소득공제 혜택도 갖추고 있다. 변액연금은 투자실적에 따라 향후 받게될 보험금 규모가 달라지는 상품으로 투자형 마인드를 갖고 있는 보험소비자들에게 적합하다. 노후 의료비 문제는 민영의료보험과 효도보험 등을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주로 손보사에서 판매되는 이 상품은 국민건강보험에서 보상하지 않는 치료비를 책임진다. 건강보험혜택이 주어지지 않는 △지정진료비 △식대 △상급병실료 △MRI 등을 이용할 때 들어가는 비용도 보장해 준다. 자녀들이 부모를 위해 대신 가입해 주는 효도보험은 노인들의 건강과 재해 사고 등을 종합 보장해 준다. 노 후엔 치매나 와병상태 등으로 인해 장기 간병 상태에 처하는 경우도 적지 않은데, 이런 위험은 장기 간병보험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최근 들어선 삼성 대한 교보생명 등 대형 생보사들이 선진국형 장기 간병보험을 내놓으면서 큰 관심을 끌고 있다. 한국의 경우 정부차원에서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노후보장체계가 도입됐다고 보기 어렵다. 하지만 고령사회로의 진전은 급속도로 빨라지고 있다. 고령사회 문제가 지금은 남의 얘기처럼 들릴지 모르지만 어느새 우리들의 현실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준비는 빠를수록 좋다. 안락한 노후설계를 위해 열린 자세로 보험을 활용하도록 하자. 이성태 기자 stee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