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대 교수들이 '노무현 정부'의 핵심 두뇌집단으로 떠오르고 있다. 19일 노무현 대통령 주재로 첫 회의를 연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95명 가운데 27명이 지방대 교수다. 정책기획위원회는 앞으로 각종 국정과제추진위원회와 청와대의 '태스크포스',국책연구기관 사이의 협력을 이끌어내면서 국정과제를 지원하고 국정현안에 대한 노 대통령의 정책자문,노 대통령과 지식인·시민사회간 교량 역할을 한다. 노무현 정부의 '싱크 탱크'다. 정책기획위원회는 이종오 위원장부터 계명대 교수다. 국가발전전략,국가시스템개혁,국민통합,미래전략 등 4개 분과에 26명의 지방대 교수들이 두루 포진해있다. 대학 분포도 다양하고,영호남으로 대학 안배도 어느 정도 이뤄져 있다. 앞서 출범한 국가균형발전위원회도 12명의 민간위원 가운데 5명이 교수 출신인데 이 중 4명이 지방대 교수다. 성경륭 위원장을 비롯 김달웅 경북대 총장,김민남 동아대 교수,송인성 전남대 교수 등이다.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역시 16명의 민간위원 가운데 3명이 지방대 교수다. 이 위원회에도 8명의 교수가 있고 여기에 이행봉 부산대 교수,오재일 전남대 교수,김상욱 충북대 교수가 들어있다. 동북아경제중심추진위원회에는 14명의 민간위원 가운데 4명의 교수가 포함됐지만 지방대 교수는 황호선 부경대 교수 1명뿐이어서 상대적으로 적다. 이전 정부에 비해 나이가 상당히 젊어진 점도 주목된다. 정책기획위원회는 40대 위원이 44명으로 절반에 육박한다. 김연철 고려대 교수(39),정숙경 한국여성개발원 전문연구원(39) 등 30대도 2명 있다. 정책기획위원회는 이날 회의에서 '동북아시대 신구상 10대 제안'이라는 과제를 제시하고 앞으로의 추진 방향을 논의했다. 이수훈 경남대 교수가 주제발표한 10대 과제는 △동북아 정상회의 정례화 △다자간 안보회의체 구성 △동북아 FTA 체결 △동북아개발은행 창설 △일본에서 유럽까지 철의 실크로드 연결 △러시아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건설 추진 △동북아 평화포럼 개최 △동북아 문화콘텐츠 공동개발 △동북아 국제대학 설립 △지방간,도시간 자발적 협력과 교류 활성화 등이다. 허원순 기자 huhw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