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과 지방간 경제격차가 심화되고 있다.

될성 싶은 예비벤처인이나 성장성 있는 기업들은 수도권으로 옮겨가고 지역특화산업을 키우기 위한 시스템도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간 조정이 미흡해 체계적이지 못하다는 지적이다.

이 때문에 지방 기업의 창업비중은 갈수록 줄고 있다.

전국 7대도시의 신설법인 동향을 보면 월평균 98년 1천6백6개,99년 2천4백98개,2000년 3천4백35개로 늘고 있다.

하지만 지방기업의 비중은 98년 28%에서 99년 25%,2000년 22%로 뒷걸음치고 있다.

조한천 중소기업특별위원회 위원장이 지난6,7일 대구·경북을 시작으로 전국 13곳을 돌며 중소·벤처기업 정책 대토론회에 나선 것도 이같은 현실을 두고볼 수 없다는 위기감에서 비롯됐다.

대구 경북지역 대토론회에선 주력업종인 섬유산업 육성을 위한 밀라노프로젝트가 부실하다는 지적이 많았다.

핵심인 섬유장비 개발 지원은 빠져있고 인력 양성시스템도 부실하다는 것.

한 참석자는 "섬유기능대학이 섬유패션기능대학으로 문패를 바꿔달고 일부 과정을 고쳤을 뿐 4년제 과정을 신설하는 등의 고급인력 양성시스템이 부족하다"고 꼬집었다.

패션산업은 소수의 뛰어난 디자이너가 경쟁력을 좌우한다는 사실을 간과했다는 것.

이탈리아처럼 현장에서 25년이상 된 기술자를 교수로 채용하는 대학의 자세도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중진공 자금과 지자체 자금간 역할 구분이 모호하다는 지적도 적지 않았다.

조한천 중기특위 위원장은 지역특화사업을 적극 지원하기 위해 정책자금 제도를 검토,개선하겠다고 말했다.

동종업종이 몰려있다고 해서 무조건 육성해야 한다는 논리도 경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전국의 안경테 제조업체중 83.7%가 대구·경북지역에 밀집해있다.

우산 양산 제조업체도 84%가 이 지역에 집중돼 있다.

그러나 영세성을 면치 못한 탓에 가격경쟁력이 앞선 중국산에 밀려 어려움을 겪는다는 게 관계자들의 얘기다.

안치성 대구경북지역본부 세관장은 "고부가가치화로의 전환이 어려운 기업들이 적지않아 이들의 업종전환을 돕기위한 프로그램 확대가 절실하다"고 말했다.

지방경제의 창업인프라인 창업보육센터에 대한 문제점도 제기됐다.

운영비 마련에 애로를 겪는 베이터 매니저의 이직도 끊이지 않는다는 것.

정통부 산자부 중기청이 제각각 지원하는 창업보육센터 재원을 모아 포스트BI 등 집중적이고 단계적으로 지원하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는 대안도 나왔다.

중기특위의 한 관계자는 "정책자금을 받기 위해 일단 보육센터를 설립한 뒤에 운영지원에는 소극적인 일부 대학의 자세도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여성기업인에 대한 금융권의 차별적인 관행도 도마위에 올랐다.

이명례 여경협 경남지회장은 "여성기업인이 대출받을 때는 남편의 직업 및 신용상태 등에 대한 서류를 내야 하는 불평등 관행이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중기특위는 오는3월21일까지 지역순회 대토론회를 개최한 뒤에도 수시로 중소기업 밀집지역을 돌며 이같은 현장의 애로사항을 듣고 정책에 반영키로 했다.

대구=오광진 기자 kjo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