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계가 일단 집단폐업 투쟁을 거두고 진료정상화에 복귀한 것은 그동안 고통받은 환자들을 생각하면 여간 다행스런 일이 아닐수없다.

그러나 분업을 둘러싼 의.약계의 근본적인 시각차가 좁혀진 것은 아니라는 점에서 국민들의 불안은 여전히 가시지않고 있다.

의료계 집단폐업 철회의 명분인 "7월 약사법 재개정"에 대해 이번에는 의약분업의 다른 한 축인 약사회가 반발하고 나섰다.

자칫 잘못하면 의약분업은 고사하고 두 집단의 이기주의로 애매한 국민들만 골탕먹는 결과를 가져오지 않을지 무척 걱정스럽다.

우리는 의.약계의 서로 다른 주장이 전혀 터무니 없는 것이라고 생각하지는 않지만 의약분업이 궁극적으로 가야할 길이라고 한다면 자신들의 이익 확보에만 급급할 것이 아니라 이해를 조정하면서 국민들의 건강을 위해 무엇을,어떻게 해야 할지에 대해 좀더 진지한 대화를 나눠야 한다고 믿는다.

그같은 자세로 의약계가 머리를 맞댄다면 핵심현안인 약사의 임의.대체조제 문제도 합리적인 대안을 찾지못할 이유가 없을 것이다.

사실 의약분업이 시행되면 당장 불편해지는 것은 의료소비자인 국민들이다.

부담도 크게 늘어날 것이란 점은 불을 보듯 뻔하다.

그런데도 새로운 제도를 감수하려는 것은 의약품 오남용이라는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국민건강에 매우 중요하다는 판단 때문이다.

그렇다면 지금 의사와 약사들이 해야할 일은 자명해진 셈이이다.

의약분업으로 야기될 국민들의 불편을 덜어주는 일에 발벗고 나서야 한다.

만약 의약분업이 시행초부터 혼란에 빠지게 되면 범국민적인 저항에 직면할 것이고,그로인해 의사 약사 모두가 불신을 사게 되는 불행한 사태를 초래할 우려가 있음을 명심할 필요가 있다.

의약분업을 둘러싼 지금의 혼란은 정부의 안이한 대응에 더 큰 책임이 있다.

어떤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서라도 의료대란이 일어나기전에 이해당사자들을 설득시켰어야 했다.

뒤늦게 의료계를 강압적으로 몰아세우려 한 것이나 중재안을 내고 허둥대는 모습은 보기에도 딱하다.

대다수 국민들은 아직도 의약분업이 제대로 시행될지에 대해 확신을 갖지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제때에 치료는 받을 수 있고, 약은 제대로 조제받을 수 있을지, 의료보험료.진료비는 얼마나 늘어날지, 어느것 하나 걱정되지 않는 게 없다.

이같은 문제에 대한 정부의 정책방향을 확실하게 밝혀주는 것이 혼란없는 의약분업 시행을 위해 의사 약사를 달래는 일보다 더 시급한 과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