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우리 경제가 수출 훈풍에 내수까지 살아나며 경기 회복 흐름이 뚜렷해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물가 상승률은 둔화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기획재정부는 17일 발간한 ‘5월 최근 경제동향’에서 “우리 경제는 제조업·수출 호조세에 방한 관광객 증가, 서비스업 개선 등 내수 회복 조짐이 가세하며 경기 회복 흐름이 점차 확대되는 모습”이라고 밝혔다. 4월 경제동향에서 “재화소비 둔화, 건설 선행지표 부진 등 경제 부문별로 회복 속도에 차이가 있다”고 한 표현이 빠지고 ‘내수 회복 조짐’이라는 긍정적인 평가가 새로 들어갔다. 1~3월 경제동향에선 “민간소비 둔화, 건설투자 부진”이라고 표현했었다. 물가에 대해선 지난달 “둔화 흐름이 다소 주춤하다”는 표현을 빼고 “상승세가 굴곡진 흐름 속에 다소 둔화했다”는 평가를 새로 넣었다.

이런 경기 진단은 최근 살아나는 소비와 건설투자 관련 지표를 반영한 것이다. 지난달 공개된 1분기 국내총생산(GDP) 속보치에 따르면 1분기 민간소비와 건설투자는 각각 전 분기보다 0.8%, 2.7% 증가했다. 3월 상품소비를 나타내는 소매판매도 전월 대비 1.6% 뛰었다.

정부는 지난달 소매판매에서 카드 승인액과 방한 관광객이 증가한 것이 내수 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했다. 국내 승용차 내수 판매량이 7.2% 감소하며 부진한 흐름을 이어간 점은 경계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소비가 본격적으로 좋아지려면 시간이 조금 더 필요할 것으로 본다”며 “완벽하게 소비가 살아나려면 서비스를 넘어 재화 소비까지 연결되는지 시간을 두고 지켜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설비투자는 변동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설비투자는 작년 3분기에 전기 대비 2.2% 감소했다가 4분기 3.3%로 돌아섰지만 올 1분기(-0.8%)엔 다시 역성장했다. 1분기 부진은 민간 항공사들의 항공기 도입이 늦어진 영향으로 해석됐다. 기재부는 “조속한 물가 안정 기조 안착, 내수 온기 확산 등 체감할 수 있는 회복을 통한 민생 안정에 역점을 두겠다”고 밝혔다.

허세민 기자 sem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