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2%에서 2.6%로 높였다. 반도체 중심의 수출 회복세가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내다봤다. KDI는 물가가 안정되고 있다며 기준금리 인하를 검토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KDI, 올 韓 경제성장률 전망 2.2→2.6% 높여
KDI는 16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24 상반기 경제전망’을 발표했다. 전망에 따르면 KDI는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6%로 제시했다. 지난 2월 수정 경제전망(2.2%)보다 0.4%포인트 높였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도 지난 2일 올해 한국 성장률 전망치를 2.2%에서 2.6%로 높였다. 시장 예상을 훌쩍 뛰어넘은 1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1.3%)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됐다. 김지연 KDI 경제전망실 동향총괄은 “내년에는 수출 증가세가 조정돼 2.1% 성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KDI는 반도체 수요 확대에 힘입어 올해 상품 수출이 5.3%(물량 기준) 늘어날 것으로 봤다. 기존 전망치(4.4%)보다 0.9%포인트 높아졌다. 올해 경상수지 흑자 폭은 703억달러로 예상했다. 3개월 전(562억달러)보다 141억달러 늘었다.

올해 민간소비 증가율은 1.8%로 전망했다. 고금리 등의 영향이 크다고 봐서 3개월 전(1.7%)보다 소폭 높였다. 올해 설비투자는 종전 전망보다 0.1%포인트 내린 2.2% 증가하고, 건설투자는 기존과 같은 1.4% 역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종전 2.5%에서 2.6%로 0.1%포인트 높였다. 기조적 물가 상승세를 나타내는 근원물가 상승률은 2.3%를 유지했다.

KDI는 물가가 서서히 둔화하고 있는 점 등을 고려해 한국은행이 연 3.5%인 기준금리의 인하를 검토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 총괄은 “고금리 기조가 가계와 개인사업자의 대출 연체율을 높이는 등 내수에 하방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긴축 기조의 점진적 조정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KDI는 이번 전망에서도 추가 경기 부양책의 필요성은 높지 않다고 강조했다. 경기가 회복되는 가운데 통화정책이 완화될 경우 내수도 개선될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KDI는 지난 2일에도 ‘최근 내수 부진의 요인 분석’ 보고서를 통해 대규모 내수 부양책을 자제할 필요가 있다고 권고했다. 더불어민주당이 주장하는 전 국민 민생회복지원금을 반대하는 논리다.

허세민 기자 sem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