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금융센터가 설립된지 1년도 안돼 위상이 흔들리고 있다.

어윤대 초대소장이 지난달 20일 그만 둔 뒤 한달이 다 지나도록 아직 후임조차 찾지 못했다.

조직이 흔들리면서 인력도 다른 곳으로 빠져 나가고 있다.

그동안 박사급 인력 3명이 컨설팅회사 등으로 자리를 옮겼고 금융회사에서 지원한 인력도 2명이 돌아갔다.

이런 와중에 센터의 발전방향을 놓고 재정경제부와 한국은행이 서로 다른 목소리를 내고 있어 안팎으로 위기상황을 맞고 있다.

국제금융센터는 지난해 4월1일 국제금융시장의 이상징후를 조기에 발견해 제2의 외환위기를 막자는 취지에서 설립된 기구.

그동안 1일보고서와 특별보고서 등을 생산, 청와대와 재경부 한은 금융감독위원회 등 주요 정책당국에 제공하는 역할을 맡았다.

문제는 이들이 내놓는 보고서의 내용이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정부 관계자는 "보고서의 대부분이 외신을 종합해 번역하거나 외국금융기관들의 분석보고서를 그대로 옮긴 수준"이라며 아쉬움을 표했다.

특히 센터내의 인사평가시스템이 단순히 보고서 건수 위주여서 쓸데 없는 내용이 많다고 지적했다.

한마디로 지금까지의 센터운용 실적은 국내 금융, 외환정책에 별 참고가 되지 않았다는 지적이다.

재정자립을 이루는 것도 문제다.

이 센터는 재정경제부와 한국은행이 올해까지 각각 1백억원씩 출연했다.

내년부터는 자립해야 한다.

센터측은 "앞으로 인터넷홈페이지를 통해 유료로 정보를 제공하거나 특별회원을 모집하는 방안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지금처럼 정보제공 범위가 한정돼 있다면 이마저도 여의치않을 전망이다.

초기 출자금을 까먹는 시점까지 수익사업을 개발하지 못한다면 조직 존폐의 갈림길에 설 가능성마저 있다.

이와관련, 재경부는 국제금융센터를 새로운 조직으로 탈바꿈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싱가포르의 투자청(GIC)과 비슷한 정부투자공사를 만들고 여기에 국제금융센터의 업무를 연계하는 방안이다.

이렇게 하면 국제금융센터가 "시장참여자"로서의 위상을 갖게돼 보다 고급정보에 접근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이 방안은 한은측이 GIC 설립에 극구 반대하고 있어 실현 가능성이 아직은 불투명하다.

한은 관계자는 "국제금융센터는 처음 만들때부터 위상을 놓고 논란이 있었다"며 "지금와서 다시 바꾸는 것은 문제만 복잡해질 뿐"이라고 지적했다.

김준현 기자 kimjh@k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