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 조작에 의해 생산되는 농작물의 거래를 원활히 하기 위해 국제적인
통일규정이 만들어질 전망이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16일 주요 국제기구들이 유전자 조작 작물들의
생산.개발이나 상품인가에 대한 가이드라인등 국제룰을 제정키 위한 활동에
나섰다고 보도했다.

주요 국제기구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유엔식량농업기구(FAO)
세계보건기구(WHO) 등이다.

국제기구들은 실무작업반을 가동 내년 7월까지 구체적인 규정을 만들
방침이다.

유전자 조작에 의한 농작물들이 인체나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은
나라별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국제적인 조정이 큰 현안으로 부상해
있는 상태다.

OECD는 이미 선진29개국의 전문가들을 불러 모아 실무작업반을 만들어놓은
상태며 현재 유전자 조작 작물을 인체에 영향을 주는 "식물" 및 환경에
영향을 주는 "과학"으로서의 두가지 측면에서 논의를 추진하고 있다.

앞으로 다른 국제기구도 실무작업반을 만들어 함께 구체적인 규정을
논의하게 된다.

유전자 조작 농작물들은 지금까지 미국 일본 유럽등에서 주로 생산돼
왔으나 앞으로 개도국으로 작물재배가 확산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일본은 자국내 환경의식이 높아지면서 지난6월의 선진7개국 정상회담에서
이 문제를 거론했으나 규제에 대해 소극적인 미국 캐나다와의 입장차이가
커 구체적 논의가 이뤄지지 못했다.

< 박재림 기자 tree@ >

[ 유전자 조작식품 표기 각국 입장 ]

<> 미국 : 표기의무 없음. 표기의무화가 미국산 작물의 수입장벽으로
이용된다며 반대

<> 일본 : 2001년 4월부터 대두 등 3종류의 유전자 조작 작물 등에 대해
표기 의무화

<> 유럽 : 대두 옥수수 등에 대해 표기의무화. 2002년까지 전 작물에
표기의무화하는 방안을 추진중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9월 17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