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증하는 경상적자와 외채, 하락하는 화폐가치, 부실해진 금융기관에 대한
국제신용평가기관의 신용등급 하향조정, 얼핏 보기에는 우리와 비슷한 태국
경제의 모습이다.

국제금융시장에서는 아시아에서 제2의 멕시코사태가 일어난다면 1순위가
태국이 될것이라는 추측이 공공연히 나돌았었다.

급기야 3월3일에는 주식시장에서 금융주거래가 중단되는 사태가 빚어지기도
했다.

우리도 태국에서 발생한 금융위기를 남의 일이 아닌 것처럼 조마조마한
마음으로 지켜봤다.

그러나 태국은 정부의 과감하고 신속한 대응으로 일단 큰 고비를 넘기고
수습의 가닥을 잡아가고 있다.

아시아의 주요성장지역으로 부각됐던 태국의 금융위기는 지난해 경기가
침체됨에 따라 과도한 외자유입에 의존했던 금융부문이 허점을 드러내면서
시작됐다.

태국은 지난 92년 방콕을 역외금융센터로 만들기 위해 방콕국제금융단
(BIBF)을 구성했다.

외자로 조달하는 BIBF 대출을 전문으로 취급하는 BIBF 지점들은 외국은행
지점보다 한단계 낮은 기관으로 지점승격을 위한 대출경쟁을 벌이면서
마구잡이로 외자를 도입했다.

이에따라 상업은행과 외국은행지점들도 BIBF 대출에 뛰어들었다.

이렇게 해서 국내에 공급된 금액은 96년11월말현재 7천9백4억바트(3백16억
달러상당), 역외에서 조달해 역외로 공급한 거래는 4천8백79억바트(1백95억
달러상당)에 달했다.

이같은 금액은 지난해 태국은행이 BIBF 지점에 대해 건당 대출액을 50만
달러에서 2백만달러로 인상하고 해외단기차입금에 대해서는 7%의 준비금을
적립토록 하는 등 임시조치를 취해 그나마 BIBF 지점들이 대출을 소폭 축소한
결과다.

이렇게 유입된 자금이 생산부문보다는 부동산건설에 투입된게 화근이었다.

경기가 95년부터 꺾이는데다 정부가 신공항건설을 취소하는 등 재정을
긴축운용하고 금융부문도 긴축으로 선회함에 따라 부동산가치가 급락했다.

GDP를 기준으로한 경제성장률은 94년 8.9%에서 95년 8.7%로 떨어졌다.

지난해에는 6.7%로 1년만에 2%포인트나 급락한 것으로 태국의 중앙은행인
방콕은행(BOT)은 추정했다.

이처럼 경기가 급격히 위축됨에 따라 방콕시내에 우후죽순처럼 생겼던
오피스빌딩의 수십만개 사무실은 임대가 되지 않은채 남아 있다.

이에따라 건설시장에 자금을 공급했던 일종의 종금회사인 파이낸싱회사를
비롯한 금융기관들이 대규모 부실을 떠안게 됐다.

지난해말 현재 이같은 과정을 통해 파이낸싱회사들의 경우 전체 대출의
4분의 1 가량이 묶인 것으로 추정된다.

파이낸싱회사들의 부실이 확대되면서 지난 2월28일 업계 최대인
파이낸스원이 태국다누은행에 흡수합병됐다.

이에따라 파이낸싱회사들의 부도설이 증폭되고 주식시장이 붕괴조짐을
보이자 3월3일 정부는 금융주 주식거래를 중단시켰다.

그리고는 즉시 부동산시장에 대한 과다대출로 부실해진 9개의 파이낸싱회사
와 1개의 신용금고 명단을 공개하고 이들에게 자본금을 모두 82억바트
(3억3천만달러) 증자토록 지시했다.

여타 상업은행과 종금사에도 부실채권에 대한 충당금으로 2년내에 5백억
바트를 설정토록 지시했다.

이 조치이후 투자자들이 부실한 금융기관에서 자금을 인출하는 등 부작용이
일시적으로 빚어졌으나 중앙은행이 상업은행에 대해 자금을 인출하지 않도록
지시하고 정부가 지원기금마련을 위해 5억달러의 해외기채를 추진하는등
신속한 조치들을 잇따라 취함에 따라 파문이 가라앉고 있다.

태국정부는 이번 기회에 금융기관을 대거 합병시켜 대형화를 통한 경쟁력
강화의 계기로 삼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91개 파이낸싱회사중 절반가량을 2개의 상업은행으로 통합토록 하고 나머지
은행들도 합병하도록 자극한다는 것이다.

정부는 이른바 "당근과 채찍" 논리에 따라 합병시에는 외환업무취급허용 등
여러 메리트를 주는 한편 비협조적인 금융기관에 대해서는 "크다고 부도가
안난다는 터부를 깨겠다"며 불이익을 주겠다고 공언하고 있다.

외국은행에 대해서도 합병에 참여하면 지분한도(25%)와 이사수제한(4분의1)
을 풀어주기로 했다.

지난 4월3일에는 나바와 CMIC 타이멕스등 3개 파이낸싱회사가 합병을 주도
하기로 양해각서를 체결함으로써 금융기관들은 정부의 합병유도정책에 순종
하고 있다.

3일에는 또 인더스트리얼파이낸싱금융그룹이 태국상업은행지분을 18% 인수
하기로 했다고 발표, 여타 금융기관간 합병도 촉진될 전망이다.

환율불안우려도 어느정도 해소되고 있다.

연초부터 홍콩과 싱가포르의 딜러들이 바트화를 집중매도함으로써 바트화
가치하락을 유도, 지난 95년 달러당 평균 24.97바트였던 환율이 지난해
연말에는 25.61바트로 올랐고 3월과 이달초 26바트 안팎에서 움직이고
있지만 더이상 급등은 없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측하고 있다.

이정도의 환율상승은 엔화나 원화가 큰폭으로 상승한데 비하면 미미한
수준이다.

외국인자본유치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태국정부로서는 바트화가치하락을
절대 막아야 하는 입장이다.

태국은행 경제조사국의 국제수지과장인 피치트박사는 "바트화를 평가절하할
경우 태국경제의 원동력인 외국인투자가 크게 위축될 것"이라고 말하고
"따라서 평가절하는 고려대상이 될수없다"고 못박았다.

이같은 방침에 대해 IMF(국제통화기금)등 국제금융기구들도 대체로 동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태국정부가 금융및 외환위기를 그런대로 수습하고 있는 것은 현
경제팀에 대한 내외의 신뢰가 확고한 점이 큰 도움이 되고 있다.

지난해 11월부터 부총리겸 재무부장관을 맡고 있는 암누아이장관은 여론
조사에서 총리 1순위로 꼽히고 있을 정도로 대중적인 지지를 받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정치권의 반대를 무릅쓰고 부실금융기관명단을 공개하는
등 과감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암누아이장관의 자문팀일원으로 막후에서 금융산업재편작업을 지휘하고
있는 에카몰 전 태국은행부총재는 시장경제원칙에 따라 투명한 정책을
펴고 있다는 평을 듣고 있다.

또 적극적인 외국인투자유치정책도 시장경제원칙과 함께 외부의 신뢰를
확보하는데 큰 도움이 되고 있다.

외국인투자 자체가 경제발전에 기여하는데다 외부에서도 이를 긍정적으로
평가함으로써 어려움을 극복하는데 좋은 분위기를 형성하고 있다.

외국인투자승인금액은 지난 95년 1백64억달러에 달했으며 지난해 1월부터
10월까지는 1백16억달러를 기록했다.

지난해 우리의 외국인투자신고액 32억달러의 4배에 가까운 규모다.

특히 외국인투자중 절반을 차지하고 있는 일본으로부터 적극적인 지지를
받고 있다.

직접투자한 기업입장에서도 투자국의 경제적 혼란이나 환율상승을 좋아할리
없기 때문이다.

이와관련, 사또 미쓰오 ADB(아시아개발은행)총재는 11일 "태국의 불경기는
단기적이며 다시 장기적 경제성장의 도약을 보게 될것으로 믿는다"고
말했으며 모리카와 스미토모은행장, 노부루 일본대외무역기구(JETRO)총재
등도 연이어 태국경제에 대한 낙관론을 펴고 있다.

이같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거의 1년마다 반복되는 쿠데타와 정권교체등
정치불안이 경제를 짓누르고 있다.

또 이권사업을 직접 경영하는 고위공직자들의 부패, 관세청 등 하급관리들의
부패도 경제에 큰 부담을 주고 있다.

이같은 정치의 부담에서 벗어나는 것이 아시아경제의 공통과제다.

< 방콕=김성택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4월 2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