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 "저화"라는 지폐의 발행이 최초로 거론된 것은 1391년(고려
공민왕 3년)이었다.

고려말의 혼란한 유통질서를 바로잡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전화.
저화겸용론"이 주창돼 종이와 인판까지 준비했으나 심덕부 배극염 등의
반대로 결국 제화유통은 보류되고 말았다.

정작 한국의 저화가 발행된 것은 왕조가 바뀐뒤인 1401년(조선 태종1년)
이다.

태종은 하윤의 건의를 받아들여 사섬서를 설치하고 저화 2,000장을
발행했다.

전화 1장의 가치를 쌀2말로 책정한 태종은 조신들의 녹봉일부를 저화로
지급하는 한편 모든 상거래에서 저화를 이용하도록 강경책을 썼다.

그러나 세를 거두는데에 이용하려는 목적으로 만들어진 태종의 저화정책은
국가의 정책적인 면에서는 의의가 있었지만 당시 사회적인 요구에 부응하는
것은 되지 못했다.

당초 전화 한장의 가치가 쌀2말이었던데서 1419(세종원년)년에는 쌀3되,
1422년에는 저화 3장이 쌀 1되로 폭락하자 저화는 유통수단으로서의
위치를 상실해가기 시작했다.

"경국대전"에는 저화와 전화의 겸용이 규정돼 있었지만 1492년(성종
23년)에는 변방에서 저화가 무엇인지 알지 못할 정도였고 1512년(중종
7년)께는 유통계에서조차 저화는 모습을 감추고 말았다.

결국 저화를 유통시키려 했던 왕조의 정책은 사회경제의 미숙으로
실질가치만을 중시하는 일반인들의 성향과 올바른 화폐정책이 운용될수
없었던 당시의 여러가지 문제가 직.간접적 이유가 되어 실패하고 말았다.

그리고 임진왜란을 겪은뒤인 17세기초까지는 쌀 면포 은등의 물품화폐가
여전히 유통계를 지배한다.

저화의 크기기 길이 1자6치, 너비 4치되는 것과 길이 1자1치, 너비 1자
되는 것 등 2가지였다니 저화의 크기나 사용상의 불편도 실질가치중시사상
과 함께 저화기피의 큰 원인이 됐을 것은 틀림없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화폐폐기량이 매년 늘어 지난해 파손돼 폐기처분된
지폐가 5t트럭 182대분인 8억6,200만장이나 된다고 한다.

이것을 매년 새지폐로 바꾸는데만도 978억원이 드는 엄청난 낭비요
손실이다.

이처럼 지폐가 파손되는 이유는 돈을 험하게 다루는 습관 때문이다.

돈을 소중하게 여겨 지갑에 넣어 사용하고 신용카드나 지토제도를 이용
한다면 그만큼 돈의 수명을 연장시킬수 있다.

별로 어려운 일도 아니다.

현금을 중시해 꼭 몸에 지니고 다녀야 직성이 풀리는 사람의 머리속에는
엽전꾸러미를 허리춤에 달고 쩔렁거리며 다니던, 그래서 저화가 맥을
못추던 왕조시대의 구습이 아직 남아있는 탓인지도 모른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6월 13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