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경제가 위기로 빠져들 가능성에 대한 경고가 잇따르고 국내 경기도 심상치 않은 흐름을 보이고 있어 걱정스럽다.

미국 백악관이 이례적으로 자국 경제의 침체 우려가 커졌다고 천명한 데 이어,어제 발표된 미국의 11월 소비자신뢰지수도 87.3으로 2년 만의 최저 수준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침체가 세계경제의 성장을 크게 둔화시킬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서브프라임모기지 부실 파문에서 비롯된 부동산거품 파열,이에 따른 금융불안이 실물경제에 타격을 입힌 결과다.

금융불안의 파장이 앞으로 어느 정도로 커질 것인지도 짐작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달러 약세,배럴당 100달러에 육박하는 국제유가 또한 침체를 가속시키는 요인이다.

문제는 우리 경제도 직격탄을 맞을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달러 약세와 환율 변동성의 확대는 수출경쟁력을 잠식함으로써 성장률을 둔화시키고 국제수지를 악화시키는 걸림돌이 되게 마련이다.

유가와 원자재 값의 앙등에 따른 물가상승 압력도 피하기 어렵다.

결국 우리 경제의 회복세가 꺾이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갖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대한상의가 발표한 내년 1분기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전망치는 99로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완연하게 약화됐다.

한국은행 총재와 주요 연구원장들이 참석한 월례 경제동향간담회에서도 "국제 환경이 물가상승 압력,경기하향 위험으로 작용하고 있어 거시경제 흐름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는 평가가 나왔다.

주목해 볼만한 대목이다.

사정이 이런데도 국내 경제환경은 내우외환의 국면으로 치닫고 있어 더욱 답답하다.

대선정국의 와중에서 시급한 경제문제는 아예 도외시되고,정권 말 공직사회의 복지부동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다.

더욱이 '삼성 사태'에 대한 전방위 검찰수사와 특검결정은 기업인의 경영의욕마저 심각하게 손상시킴으로써 경제불안을 가중시키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정책당국은 기업활력을 살리고 투자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규제철폐와 투자지원 방안 등을 적극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시급하다.

특히 고유가 및 국제금융시장 불안과 인플레이션 압력에 대응력을 높이기 위한 거시경제 전반의 구조개선 방안 강구 또한 서두르지 않으면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