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메뉴
  • 방사선량을 조사했더니?

    2011년 3월11일 도쿄 동북쪽 370km 떨어진 태평양 앞바다에서 발생한 진도 9.0의 대지진으로 동북지방에는 14~15미터의 쓰나미가 발생해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를 덮쳐 침수되는 사고가 일어났다. 이로 인해 전원이 끊기고 비상용 발전기까지 정지되면서 지진 발생 2일째의 3월 12일에 수소 폭발이 생겨 방사성 물질이 대기 중에 방출되어 후쿠시마현을 시작해 동일본으로 광범위하게 확산되느 피해를 가져왔다. 이 사고로 방출된 방사성 물질의 누출량은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로 방출된 방사성 물질의 약 7분의 1이라고 알려져 있다. 당국은 긴급조치로 현장주변 20Km를 재난지역으로 선포하고 수습작업에 착수했다. 그러나 당시 바람의 방향은 북서쪽으로 불어 현장에서 40km 밖의 지역인 “이타테마을” 사람들은 무방비 상태로 방사선에 노출 된 셈이다. 후쿠시마 원전사고의 가장 큰 피해자들로 그린피스 등 세계 각국의 환경단체들은 조사에 착수하고 정부당국에 불신을 느끼는 사람들도 이 지역에서 가장 많은 이유다. 이후 정부는 이 지역도 재난지역으로 선포하고 마을 주민들을 피난시킨 후 제염작업을 시작했다. 제염작업이란 생활공간에서 받은 방사선 양을 줄이기 위해 방사성물질을 없애거나 흙으로 덮는 작업이다. 방사성 물질이 있는 흙과 초목을 모아 폐기 처리하는 과정으로 이들은 커다란 폐기물 주머니에 넣고 다시 흙으로 덮어 영구폐기 처리하게 된다. 하지만 농가가 있는 평지나 경작지 등은 제염작업이 수월하지만 생활반경을 벗어난 마을 야산 등은 방사능 수치의 편차가 생기고 있다. 특히 대부분이 산악지역인 후쿠시마 사고 주변 전체를 인력으로 정밀하게 제거하는 것

  • 후쿠시마는 첨단 산업도시로 변신 중

    대지진으로부터 7년이 경과하여, 현지에 가서 느낀 점이라고 하면, 도쿄 전력 후쿠시마 제일 원자력 발전 사고 현장의 주변에 있는 출입이 규제되고 있는 지역에는, 지금도 적막감이 감돌고 있어 고향을 떠난 주민들의 고통은 큰 것이 상상되었지만, 외국인관광 각도에서 본 후쿠시마는 예전과 다름없이 보였다. 후쿠시마현은 크게 3지역으로 구분된다. 태평양 바다를 끼고 사고 현장을 포함한 “하마도리”, 후쿠시마 현 청 소재지인 후쿠시마시를 포함한 “나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