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메뉴
  • 남북교역 : 도매업의 사업성

    남북교역 : 도매업 남북교역이 재개되면 도매업이 활기를 띨 것 같다. 북한 제품을 남한으로 보내거나 남한 제품을 북한으로 보내는 장사다. 막혔던 판로가 뚫리면 거기에 맞는 장사 수단이 나오게 되고, 물건을 보면 사람들은 사고 싶은 욕구가 생기게 마련이다. 그런 유통업의 대표적인 수단이 도매업이다. 개성에다 도매업을 하면 나도 개성상인이 되는 거다. 북한은 공식적으로는 도매업이 허가가 나지 않는다. 아무리 장마당이 발달되어 있다 하더라도 소매업 한정이지 도매업은 아직도 정부 독점으로 되어 있다. 북한 당국이 도매시장을 건설하고 여기에 국가 기관의 생산소, 협동농장, 국가 상업기업소 등이 입주하여 도매를 하게 되어있다. 하지만 공식적인 것은 공식적인 것이고, 비밀스러운 것은 비밀스러울 때가 있다. 북한 전역에는 수백 명의 도매꾼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자금과 물품이 부족한 국가기관과 손을 잡고 영업을 한다. 돈은 도매꾼이 대고 번 돈의 일부를 국가기관과 나누고, 또 일부는 그 기관의 기관원들에게 뇌물을 주는 식이라고 한다. 그러니 북한에 도매업을 하려면 이들과 손을 잡아야 한다. 이들이 주로 소재하는 곳은 북한에서도 주요 거점도시에서 소매상으로 물건이 퍼져나간다. 거점도시로는 강계, 함흥, 청진, 나진선봉, 신의주, 평양, 평성, 사리원, 해주 그리고 개성이다. 중국과 연안한 지역은 강폭이 좁아 밀무역도 꽤 크다. 평양 근처의 평성은 북한 최대의 도매중심으로 꼽히고 있다. 보통의 도매상들은 1-5만 달러 정도의 자금을 가지고 한두 개, 많아야 너댓개 정도의 품목에 집중한다. 이들이 주로 사용하는 창고는 장마당 주변에 있고, 창고 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