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메뉴
  • 2022 세계적인 새해풍습과 설날 용어 의미

    이번 설에도 고향방문을 자제하고 슬기롭게 지내야  전국적으로 강화된 사회적 거리두기로 잠시 주춤하던 코로나19 확산세가 예상치못하게 거세지고 있어서 걱정이다. 올 설 연휴에도 사실상 가족과 함께 고향을 방문을 자제해야 하면서 현명하게 설연휴를 보내면 좋겠다. 2월 1일 설날 VS 구정 한 해의 첫날을 의미하는 새해 첫날은 양력 1월 1일이다. 그레고리력(태양력) 1월 1일은 전 세계 대부분의 국가들에서 새해 첫날이자 명절로 기념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양력 1월 1일을 새해 첫날, 양력 설, 신정(新正) 등으로 부른다.  신정과 구정의 차이는? '구정'이라는 단어는 음력 설을 낡은 것으로 취급하는 어감이 있기에 요즈음에는 잘 쓰지 않는 추세다. '구정'에 대비되는 '신정' 역시 국립국어원에서는 양력 설이나 새해 첫날이라는 표현을 추천하고 있다. '양력 설'이라는 말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일단 '설'은 양력 설도 포함되는 식으로 인정을 하고 있다. 이처럼 '설'은 '양력 설'과 '음력 설'을 모두 가리킬 수 있기는 하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설날'이라고 하면 또 음력 설을 의미하는 경향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설‘이란 용어의 의미는? 설이란 용어는 나이를 헤아리는 말로 해석하기도 한다. 해가 바뀌어 새로운 한 해를 맞이하는 첫 날인 ‘설’을 쇨 때마다 한 살 씩 더 먹는다. 설을 한 번 쇠면 1년이며 두 번 쇠면 2년이 되는 이치를 따라 사람의 나이도 한 살씩 더 늘어난다. 결국 ‘설’이 사람의 나이를 헤아리는 단위로 정착하여 오늘날 ‘살’로 바뀌게 된 것이라 한다. 이밖에도 설이 새해 첫 달의

  • 착 붙는 중국어 회화: 귀향하지 않고 설 명절을 보내는 사람

    原年人 Yuánniánrén 귀향하지 않고 설 명절을 보내는 사람 A: 你春节的时候没回老家吧? A: Nǐ Chūn Jié de shíhou méi huí lǎojiā ba? A: 니 츈 지에 더 스허우 메이 훼이 라오지아 바? B: 当然了,我是原年人。 B: Dāngrán le, wǒ shì yuánniánrén. B: 땅란 러, 워 스 위앤니앤런. A: 嗯,再忍忍吧,等新冠完全结束后再回去也不晚。 A: Ǹg, zài rěnrěn ...

  • 착 붙는 중국어 회화: 폭식하다

    暴饮暴食 Bàoyǐn bàoshí 폭식하다 A: 你中秋小长假有啥计划啊? A: Nǐ Zhōngqiū xiǎo chángjià yǒu shá jìhuà a? A: 니 쯍치우 시아오 챵지아 여우 샤 지화 아? B: 啥也没有,准备在家躺尸,然后就是暴饮暴食。 B: Shá yě méiyǒu, zhǔnbèi zài jiā tǎngshī, ránhòu jiùshi bàoyǐn bàoshí. B: 샤 예 메이여우, 쥰뻬이 짜이 지아 탕스, 란허우 ...

  • 착 붙는 중국어 회화: 설날의 분위기

    年味儿 Nián wèir 설날의 분위기 A: 你春节有啥计划呀? A: Nǐ Chūn Jié yǒu shá jìhuà ya? A: 니 츈 지에 여우 샤 지화 야? B: 家里蹲着,吃饭,睡觉,玩儿手机呗。 B: Jiā li dūn zhe, chīfàn, shuìjiào, wánr shǒujī bei. B: 지아 리 뚠 져, 츠판, 쉐이지아오, 왈 셔우지 베이. A: 说的也是,年味儿越来越淡了。 A: Shuō de yě shì, niánw...

  • 가을의 달빛이 가장 좋은 추석과 차례상

    가을의 달빛이 가장 좋은 밤 추석 추석(秋夕)을 글자대로 풀이하면 가을의 달빛이 가장 좋은 밤이라는 의미다. 우리의 가장 큰 명절이라고 할 수 있는 추석에 차례상 차리는 방식도 집안문화마다 조금씩 다 다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있고 그 의미를 알다보면 그 깊은 의미에 고개가 절로 숙여진다. 차례는 돌아가신 날에 제사를 지내는 조상, 즉 기제사를 지내는 조상께 지낸다. 차례 하면 복잡하고 지켜야 할 규칙도 많은 것으로 생각하나 그 유래와 원리를 가만히 살펴보면 조상들의 지혜를 느낄 수 있다. 지역마다 차례상 차림 우선 차례 상차림을 보면 5열로 진설돼 있음을 알 수 있다. 각 열은 과거의 조상들이 먹어왔던 음식을 순서대로 표현했다고 이해하면 된다. 수렵, 채집시대에 먹었던 음식을 의미하는 제일 앞쪽의 과일과 둘째 줄의 나물과 채소, 불을 사용하기 시작하면서부터 먹었던 음식들인 전류가 위치한다. 농경시대에 들어서면서 먹었던 주식과 반찬을 의미하는 탕, 적, 메(밥), 갱(국) 등이 순서대로 올려진 것이다. 제수를 놓는 위치와 수의 의미 일반적으로 우주나 인간사회의 모든 현상과 생성소멸을 설명하는 음양오행설을 따르고 있다. 물론 음양오행설이 현대에는 과학적이다 그렇지 않다는 논란을 일으키고 있지만, 과거 조상들이 차례 상차림속에서도 그네들이 생각한 일정한 규칙을 지키려고 했다는 점이 흥미롭다. 예를 들어 차례상은 신위는 북쪽에 놓고, 생선을 놓을 때 머리는 동쪽으로, 꼬리는 서쪽에 놓는다는 일정한 방위 규칙을 갖고 있다. 또 땅에 뿌리를 두고 얻어진 음식은 음(陰)을 상징한다고 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