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메뉴
  • 가족이 먼저다

    회사가 부도가 나 회생이 어렵다고 판단해 경영권을 넘기고 나서 아버지는 심한 화병을 앓았다. 믿었던 부하 직원의 배신에 몸서리쳤다. 분노나 답답함을 겉으로 드러내지 않고 억지로 꾹 눌러 담았다가, 그 화가 삭아 비틀어져서 생긴 심화병(心火病)이다. 지나칠 정도로 화를 잘 내는 다혈질 성격 때문에 가족들이 가까이 가질 않았다. 언제나 독상(獨床)을 받아 혼자 드셨다. 내가 대학에 다닐 때다. 가끔 내가 겸상을 해도 많이 불편했다. 아버지는 약도 별로 없는 울화병(鬱火病)을 겪어냈다. 밤새 불이 켜진 아버지의 방, 불면의 밤을 지켜보는 가족은 하루도 마음 편할 날이 없었다. 대학을 졸업하고 공군 장교로 근무하는 남동생이 TV와 냉장고 등 가전제품을 사 보냈다. 다른 가족들도 좋아했지만, 특히 어머니가 무척이나 기뻐했다. 오랜만에 두레반에서 저녁밥을 먹을 때 어머니가 “냉장고에 넣은 김치가 참 맛있다. 냉장고가 커서 좋다”고 몇 번이나 말씀했다. 그때 아버지가 숟가락을 내려놓고 건넌방으로 가서 나를 불렀다. 불길이 안 들어가 냉골이라고 투덜거린 게 기억났던지 방을 치우라고 했다. 온 방에 불을 켜고 밥 먹던 가족들을 불러 건넌방 구들장을 뜯어내고 새로 깔았다. 시멘트로 방바닥 마무리를 끝냈을 땐 이미 밤이 이슥해서였다. 이튿날 새벽부터 집 고치는 크고 작은 공사는 계속됐다. 안방으로 물이 새는 지붕에는 내가 올라가 기와를 갈아 끼웠다. 모든 창문은 대패로 깎아내 부드럽게 열리게 고쳤고, 깨진 계단은 모두 수리했다. 집을 새로 짓는 것처럼 대대적인 집안 수리공사는 한 달이나 계속됐다. 손 안 본 데가 없을 정도로 수리를 마친 아버지는 느닷없이 마루방에 걸려있

  • 갈등을 해소하려면 명분을 만들어라

    친구가 차에 깔려 죽는 사고가 터졌다. 초등학교 6학년 때다. 학교에 붙여 지은 새집에 이삿짐을 내린 트럭이 운동장에 주차해 있었다. 점심시간에 같은 반 아이들이 차에 올라가고 매달리며 놀았다. 그중 한 아이가 운전석에 올라가 시동을 걸자 차가 후진했다. 내 친구가 차 밑에 떨어진 검정 고무신을 꺼내러 들어갔다가 깔리는 사고를 당했다. 집에서 점심 먹다 비보를 듣고 운동장으로 달려갔다. 사람들이 모여있는 틈으로 죽은 친구의 얼굴이 일그러져 보였다. 트럭 바퀴에 머리가 깔리는 참사였다. 가족들이 달려와 혼절하고 학생들은 모두 울었다. 가족과 마을 청년들은 운전한 학생과 담임선생님을 찾으러 동네를 뒤지고 다녔다. 나는 학교와 집을 몇 번이나 오가며 우두망찰했다. 해가 넘어갈 즈음에 아버지가 죽은 아이 아버지를 모셔오라고 했다. 멈칫거리자 아버지는 크게 호통치며 발길을 재촉했다. 사고 현장에 갔을 때 내 친구 시신은 거적에 덮여 그 자리에 있었고 사람들은 하나둘씩 흩어졌다. 친구 아버지에게 말씀을 전하자 바로 따라나섰다. 아버지는 친구 아버지를 반갑게 맞아 방에서 낯선 사람들과 한참을 얘기했다. 방문이 열리며 “조 선생님 말씀처럼 죽은 사람은 죽은 사람들과 함께 있어야 하는 겁니다”라고 처음 본 사람이 친구 아버지에게 말을 건네며 악수했다. 학교에 다시 갔을 땐 횃불이 밝혀지고 장례절차가 진행됐다. 인척인 담임선생님은 김칫독을 묻어둔 우리집 김치 광에 숨어 하룻밤을 뜬눈으로 새웠다. 홀연히 잠들었을 때 죽은 친구가 꿈에 나타나 뭐라 말을 해 나는 애써 도망쳤다. 어머니가 흔들어 깨우자 아버지가 잠 덜 깬 내 머리를 쥐어박았다. “친구가 얘기

  • 장점으로 단점을 보완하지 마라

    나는 왼발 엄지발톱이 없다. 초등학교 저학년 때 아버지 재떨이를 들고 동생과 장난치다 떨어뜨려 다쳐서다. 대포 탄피 밑동을 잘라 만든 재떨이는 무거웠다. 검붉은 피가 솟구쳐 나오더니 발톱이 빠진 자리에 새 발톱이 나오지 않았다. 인젠 익숙해졌는데도 발톱 없는 왼발을 볼 때마다 그날이 떠오른다. 상흔(傷痕)이란 게 그렇다. 잊히질 않는다. 양말 벗고 있을 땐 언제나 왼발 위에 오른발을 올려 감추는 건 그때부터 가진 버릇이다. 해수욕장에서는 왼발 위에 모래를 얹어 감추기도 했다. 날이 추우면 왼발 엄지가 유독 시리다. 아버지는 전란 중에 오른쪽 다리를 잃었고 왼쪽 발가락도 새끼발가락을 빼곤 모두 잃었다. 그 새끼발가락 발톱이 파고들어 아플 때면 상처를 입던 그 날의 기억이 되살아나 아버지는 더욱 못 견뎌 했다. 손발톱을 깎던 아버지가 내 손발톱을 깎아줬다. 발톱 없는 왼발 엄지를 한참이나 만져줬다. 그때 뭐라고 알아듣기 어려운 말씀을 하셨다. 몇 년 지나 우리집을 지을 때 똑똑히 알게 됐다. 사연은 잘 기억나지 않지만, 아버지는 지시한 대로 하지 않자 공사감독인 대목장과 심하게 언쟁을 벌였다. 앉아있던 아버지가 지팡이를 거꾸로 들어 손잡이로 서 있는 대목장 목을 잡아당겨 고꾸라뜨렸다. 그리고는 넘어진 이의 발목을 양손으로 잡아 몸을 뒤집어 무릎을 꿇렸다. 놀랄 틈도 주지 않을 만큼 순식간에 벌어진 일이었다. 그 대목장 지휘 아래 집이 완성되었으니 그날 일은 잘 마무리 지어진 듯했다. 그는 멍든 발목을 만지며 손아귀 힘이 무섭다고 엄살을 떨었다. 궁금증은 그날 밤에 아버지가 풀어줬다. “사람 발톱은 피부에서 돋아나는 부속기관이다. 뼈에서 돋아

  • 빈틈이 없어야 이루어진다

    삼국시대 때부터 내려온 구구단의 이름은 중국 관리들이 평민들이 알지 못하게 일부러 어렵게 9단부터 거꾸로 외운 데서 유래했다고 한다. 구구단(九九段·요즘 학교에서는 ‘곱셈 구구’라 한다)을 어렵게 배웠다. 초등학교 때 외우지 못해 나머지 공부를 했다. 그래도 다 외우지는 못했다. 어둑해질 때 돌아오자 아버지가 주먹구구 셈법을 가르쳐주었다. “어떤 게 안 외워지느냐?”고 해 “7x8”이라 했다. 그날 배운 주먹구구를 다시 해보자. 왼손에 7, 오른손은 8을 각각 펼치면 펴진 손가락과 구부린 손가락이 나온다. 펴진 손가락 2와 3은 10단위로 한다. 더하면 50이다. 구부린 손가락 3과 2는 서로 곱하면 6이 나온다. 그래서 7x8=56이 된다. 잘 안 외워지던 9x7도 같은 방법으로 하면 거뜬하게 답을 구할 수 있다.  애써 구구단을 외울 필요가 없겠구나 싶은 생각이 스칠 때 아버지가 하신 말씀이다. “주먹구구 셈법은 치명적인 결함이 있다. 5 이하는 계산이 안 된다. 그건 암산해야 한다. 암산은 너만 알고 남은 모른다. 사람들은 모르면 믿지 않고 믿지 못하면 따르지 않는다. 구구단은 약속이다. 나도 알고 너도 아는 언어나 문법을 쓰지 않으면 남을 이끌 수 없을뿐더러 일이 안 된다.” 우리가 흔히 쓰는 주먹구구란 말은 저렇게 생겨났다. 말씀이 끝나자 아버지는 구구단을 다 외울 때까지 학교에 열 번이고 갔다 오라고 했다. 다 외웠다고 자신하면 한 번만 갔다 와도 된다고 했다. 캄캄한 길을 더듬어가며 몇 번이었는지는 기억나지 않지만, 아버지에게 검사받을 때는 거침없이 외웠다.  아버지는 어린 자식이라고 해서 쉬운 말로 바꿔 말하지 않았다. 그날도 어김없이 영

  • 맹모삼천(孟母三遷)-환경은 최고의 유전자다

    세상에 저절로 위대해지는 것은 없다. 대개의 위대함은 누군가 밀고 누군가 끌어서 생긴 결과물이다. 사람을 밀어주는 건 사람만이 아니다. 책 한 권, 하찮아 보이는 개미 한 마리도 사람을 밀어주고 끌어준다. 때로는 풍경 한 점도 스승이다. 누군가에게 풍경은 카메라에 담은 사진 한 장이지만 다른 누군가에겐 가슴에 깊이 담은 큰 스승이다. 깨우쳐 주는 자도 스승이오, 스스로 깨우치게 하는 것도 스승이다. 맹자는 유가의 중심인물이다. 그는 유학에서 ...

  • (3)오십보백보(五十步百步)-겉만 다른 고만고만한 생각들

    고만고만한 사람들이 모이면 생각도 고만고만하다. 고만고만한 새들이 모이면 날갯짓도 고만고만하다. 그래도 그중에서 자기가 제일 잘났다고 목청을 높인다. 조금 더 높이 난다고 우긴다. 세상사 모두 저 잘난 맛에 산다. 뱀 꼬리가 용 머리라고 우기고, 시냇물이 강이라고 억지를 쓴다. 참으로 아리송한 세상이다. 양혜왕이 맹자를 초청해 물었다. “선생께서 천리를 멀다 하지 않고 이리 와주셨으니 저희에게 어떤 이익을 주시려는지요.” 맹자가 답했다. “어...

  • 2015 新 맹자 어머니

    맹자(孟子)의 어머니는 맹자를 위해 세 곳을 이사 다녔다고 한다. 결국 맹자는 유명한 학자가 되었다. 맹자의 어머니와 맹자의 사주(四柱)를 몰라 서로의 궁합(宮合)이 맞는지는 알 수가 없지만 어머니의 판단은 아들을 위인으로 성장시키는데 있어 훌륭한 결정이었다. 학력(學力)과 성공(成功)이 맞물리는 사회이다. 자연히 공부에 실패한 사람이 성공하는 예가 흔치 않은 상황인지라 자녀를 위해서라면 모든 수고를 아끼지 않는 현대판 맹자 어머니들은 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