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UG, 전세사기·PF 리스크에
13년 만에 적자전환 가능성
'건전성 지표' 보증배수도 한계
재정 건전성에 빨간불이 켜진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재건축 대출을 축소한다. 소규모 재건축 사업장에 저금리로 사업비 대출을 보증해왔는데, 이르면 오는 4월부터 지원 규모가 줄어들 전망이다. 최근 전세 사기 급증과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리스크가 겹치며 13년 만에 적자 전환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자구책 마련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조합 사업비 대출 방식 변경 검토
1일 HUG와 정비업계에 따르면 공사는 가로주택정비사업을 비롯한 소규모 재건축 사업 등에 지원해온 사업비 대출 지원 제도 개편 작업을 시작했다. HUG는 그동안 재건축 사업비 조달이 여의치 않은 소규모 재건축 조합 등에 보증을 지원했다. 지난해까지 조합들은 지정 금융회사에서 사업비의 90%까지 최저 연 2%대 저금리에 대출을 받을 수 있었다.
그러나 최근 부동산 관련 대출 금리가 급격하게 오르면서 HUG와 금융회사의 부담이 커졌다. 주요 시중은행의 사업비 대출 이자가 연 7%를 넘어서자 조합들은 저금리 대출을 위해 HUG에 더 몰렸다. 지난해에는 예비비 확보를 기다리며 조합들이 대출 신청을 위해 줄을 서는 일까지 벌어졌다.
기금 부족으로 사업이 중단되는 사례가 반복되고 재정 부담이 커지자 HUG는 기존처럼 이율을 특정해 대출해주는 방식이 아니라 시중은행의 대출 금리를 바탕으로 대출이 성사되면 HUG가 보증을 통해 일부 이율을 감면해주는 안을 검토하고 있다. 최근 연 3% 초반에 사업비 대출이 이뤄지던 것과 달리 새로 대출받는 조합은 연 5%대 이자를 지급해야 한다는 얘기다. HUG 관계자는 “가로주택정비사업 대출 지원을 위한 금융회사를 교체하기로 하고 관련 검토를 하고 있다”며 “세부 지원 방안 등은 금융회사와의 협의 등을 거쳐 1분기 이후 정해질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13년 만의 적자 예상…개편 목소리 커져
최근 재정 부담이 커진 HUG는 주요 지원 사업 내용을 개편하고 있다. 부채 비율이 90%를 넘는 전세 계약에 대해서는 전세금안심대출 보증 한도를 80%에서 60%로 축소했다. 보증 가입 기준 역시 공시가격의 150%에서 140%로 내렸다. 급격히 늘어난 보증 부담에 따른 조치다.
HUG에 따르면 2018년 5128억원에 달한 연간 이익은 2019년 3836억원, 2020년 2918억원, 2021년 3620억원을 기록했다. 그러나 지난해에는 전세보증금 대위변제액이 급격히 늘어나며 1000억원 수준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세보증금 사고는 지난해 5443건으로 피해액만 1조1726억원에 달한다. 2018년 372건(피해액 792억원)에 그쳤던 것과 비교하면 14배 이상 급등한 수치다.
대표적 재정 건전성 지표인 보증 배수도 한계에 달했다. 주택도시기금법에 따르면 HUG의 보증 총액은 자기자본의 60배를 초과할 수 없는데, 작년 말 기준 54.4배까지 치솟았다. 올해 말 예상치는 59.7배로 법정 한계에 근접한다. 국회에 HUG의 보증 총액한도를 70배로 늘리는 주택도시기금법 개정안이 발의된 상태지만, 여야 협의가 시작되지도 않아 법안 통과 여부는 미지수다.
건전성 문제와 별개로 정비사업 대출 지원 제도 자체를 개편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국토부에 따르면 정부는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HUG에 관련 지원 예산으로 2675억원을 편성했다. 매년 기금 고갈과 예비비 편성이 반복되자 올해는 4600억원으로 증액했으나 여전히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는 수준이다. 한 정비업계 관계자는 “HUG의 사업비 대출 집행이 안 돼 중단된 재건축 현장이 서울에도 다수”라며 “가로주택 정비사업의 70%가 HUG 지원을 받는데, 수요를 감당하려면 예산을 늘리고 지원 방식도 바꿔야 한다”고 지적했다.
고양창릉·남양주 진접지구에서 분양하는 공공분양주택이 ‘뉴홈’ 브랜드를 달고 첫 사전청약을 받는다.국토교통부는 오는 6일부터 2300가구 규모의 공공분양주택 사전청약을 접수한다고 1일 발표했다. LH(한국토지주택공사)에서 공급하는 경기 고양창릉(877가구), 남양주 양정역세권(549가구), 남양주 진접2(372가구) 특별공급을 이달 6~10일 진행한다. 이후 13~17일엔 일반공급 신청을 받는다.고양창릉과 양정역세권은 시세의 70% 이하 가격으로 분양하는 ‘나눔형’ 공공분양주택이다. 추정 분양가는 고양창릉의 경우 전용면적 55㎡가 3억7649만원, 59㎡는 3억9778만원, 84㎡는 5억5283만원이다. 양정역세권은 59㎡ 3억857만원, 74㎡ 3억7887만원, 84㎡는 4억2831만원이다.나눔형은 5년의 의무 거주 기간을 채우면 원할 때 LH에 시세대로 되팔 수 있는 게 특징이다. 이때 시세 차익의 70%를 가져갈 수 있다. 최대 5억원 한도 내에서 분양가의 80%를 최장 40년 동안 낮은 고정금리(연 1.9~3.0%)로 빌릴 수 있는 전용 모기지론이 있다. 나눔형은 전체 물량 중 80%가 특별공급으로 청년(15%), 신혼부부(40%), 생애최초 주택 구입자(25%)에게 공급된다. 청년 특별공급은 과거 주택을 소유한 이력이 없는 미혼 청년만 신청할 수 있다.남양주진접2는 일반형 공공분양주택이다. 분양가상한제를 적용해 시세의 80% 수준으로 공급한다. 추정 분양가는 55㎡ 3억1406만원, 59㎡ 3억3748만원이다. 전용 모기지는 없지만, 디딤돌·보금자리론 대출을 이용할 수 있다.SH공사(서울도시주택공사)에서 공급하는 고덕강일3단지 500가구에 대한 특별공급 접수는 이달 27~28일 한다. 고덕강일3단지는 토지를 공공이 소유하고 건물만 분양하는 토지임대부주택이다. 분양가에서 토지 가격이 빠지는 만큼 주변 시세보다 분양가가 저렴하다. 59㎡의 추정 분양가는 3억5537만원이다.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
아파트에 집중된 규제를 피할 수 있어 지난해까지 인기를 끌었던 오피스텔과 생활숙박시설이 최근 고전하고 있다. 정부가 ‘1·3 부동산 대책’을 통해 아파트에 적용되는 규제를 대거 완화하면서 대체재인 오피스텔과 생활숙박시설을 찾는 수요가 줄어든 여파다. 일부 단지에선 분양가보다 1억원가량 낮춘 ‘마이너스 프리미엄(웃돈)’ 매물도 등장했다.1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내년 8월 준공 예정인 서울 강서구 마곡동의 생활숙박시설 롯데캐슬르웨스트(투시도) 전용면적 49㎡는 8억2000만원에 매물이 나왔다. 2021년 8월 분양 당시 같은 주택형 분양가(최고 9억6200만원)보다 1억4000만원가량 낮은 가격이다. 이 단지 전용 74㎡ 역시 분양가보다 3000만~1억원 낮은 가격에 급매로 나왔다.마곡동 A공인 관계자는 “5000만원가량 웃돈이 붙은 분양권도 있지만 최근 분위기가 전혀 반영되지 않은 매물”이라며 “마이너스 프리미엄이 붙은 매물도 찾는 사람이 드물다”고 전했다.롯데캐슬르웨스트는 분양 당시 전매 제한 등 규제를 피할 수 있는 데다 마곡 마이스(MICE: 기업회의·포상관광·컨벤션·전시회) 복합단지 내 첫 분양 단지로 주목받으면서 청약 경쟁률이 657 대 1을 기록했다. 전용 111㎡는 분양가가 웬만한 서울 시내 아파트값에 육박하는 20억9400만원이었음에도 경쟁률이 6049 대 1에 달할 정도로 인기가 높았다.작년 4월 분양한 충남 아산시 한화포레나천안아산역은 전용 117㎡가 분양가보다 5000만원가량 낮은 9억1100만원에 급매로 나왔다. 강원 속초시 속초아이파크스위트도 분양가보다 1000만~2000만원 낮은 수준에 분양권 호가가 형성돼 있다.분양업계 관계자는 “서울 아파트값이 하락하면서 생활숙박시설의 가격 메리트가 사라졌다”며 “가파른 금리 인상으로 임대 수익률이 낮아지면서 매수자를 찾기도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오피스텔 매매 시장 상황도 마찬가지다. 올해 7월 입주를 앞둔 서울 강남구 논현동 루시아도산208 전용 52㎡는 최근 1억원의 마이너스 프리미엄이 붙었다.전문가들은 당분간 생활숙박시설이나 오피스텔 가격 하락세가 아파트보다 가파를 것으로 보고 있다. 박합수 건국대 겸임교수는 “아파트 대체재 역할을 하는 생활숙박시설이나 오피스텔은 가격 변동 폭이 비교적 커 투자에 유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하헌형 기자 hhh@hankyung.com
지난해 전국 아파트 전·월세 거래량이 사상 처음 100만 건을 돌파했다. 높은 금리에 부담을 느껴 매매보다는 임대차 계약을 선택한 수요자가 늘었기 때문이다. 특히 임대차 거래 가운데 월세 비중이 커지는 추세다.1일 부동산 정보업체 경제만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전국 아파트 전·월세 거래량은 총 105만9306건으로 나타났다.아파트 전·월세 거래량은 조사를 시작한 2011년 이후 2017년까지 50만~60만 건대를 유지하다가 2018년 70만 건대, 2019년 80만 건대로 올라섰다. 이후 2021년 95만 건으로 증가했으며 지난해 처음 100만 건을 넘어섰다.임대차 거래 중 전세는 지난해 60만6686건 거래됐다. 역대 최다를 기록한 2021년(60만7426건)보다는 0.1% 감소한 수치다. 지난해 월세 거래는 45만2620건으로 2021년(35만2150건)보다 28.5% 늘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임대차 거래 중 월세 비중은 42.7%다.전국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줄어들었다. 2021년 60만4476건에 달한 거래량은 지난해 27만2123건으로 55.0% 감소했다. 황한솔 경제만랩 리서치연구원은 “대출 이자 부담이 커지면서 매매 수요가 임대차 시장으로 대거 유입되고 있다”고 했다.이혜인 기자 he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