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MB) 대통령이 지난 27일 '대통령과의 대화'를 통해 정부가 생각하는 남북정상회담의 원칙을 밝힌 이후 관측통들은 북한의 반응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이 대통령의 발언내용이 그동안 정부가 견지해온 원칙과 큰 맥락에서 차이가 없다는게 중평이지만 일부 대목은 향후 남북간에 접점 모색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내용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 대통령이 밝힌 정상회담과 관련된 원칙은 ▲매우 정상적인 절차를 밟아서 추진하며 ▲따라서 지금 당장 정치적으로 해야할 이유가 없고 ▲핵문제는 물론 494명과 560명으로 추정되는 국군포로.납북자 문제도 의제에 포함돼야 한다는 것으로 요약된다.

대신 이 대통령은 정상회담의 장소와 관련해서는 융통성을 보였다.

그동안 두차례의 남북정상회담이 평양에서 열렸기 때문에 다음번 회담은 서울 또는 남측 지역에서 열려야 한다는 의견이 있지만 '비핵화와 남북관계' 등을 위해 `이번 한번 만은' 서울이 아니어도, 그리고 대한민국 영토가 아니어도 된다는 점을 강조했다.

대북 현안에 밝은 소식통들은 특히 장소 문제에 있어 융통성을 보인 대목을 놓고
최근 남북간에 싱가포르 회동설 등이 나도는 등 물밑 접촉 과정과 관련해 다양한 해석을 내놓고 있다.

일부에서는 '대한민국 밖'을 염두에 두고 혹시 남북정상회담이 베이징 등 제3국에서 열리는게 아니냐는 '추측'까지 내놓았다.

정부 당국자들은 29일 "장소 문제에 대한 융통성을 언급하기 위한 표현"이라며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이제 시선은 북한의 반응에 집중된다.

주말을 거쳐 북한은 이 대통령의 발언에 대한 어떤 언급도 하지 않고 있다.

대신 28일 현인택 통일장관을 비난하는 노동신문 논평을 냈다.

현재 통일부 당국자들을 포함해 대북 소식통들은 북한이 이 대통령의 '제안'에 호응을 보일 가능성을 크게 보지 않고 있다.

특히 핵 문제의 경우 북한은 미국과의 담판을 통해 해결하겠다는 기조를 고수하고 있고, 국군포로.납북자는 그 존재 자체를 인정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코앞으로 다가온 미국과의 평양회동에서 모종의 반전이 모색될 경우 북한이 남북관계 관리 차원에서 변화된 대응을 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은 여전하다.

(서울연합뉴스) 조준형 기자 jhch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