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핵문제 해법을 둘러싼 한.미간 이견이 부시 행정부의 입지를 더욱 어렵게 하고 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거물급 인사의 투입이 절실하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 인터넷판이 2일 진단했다. WSJ는 `한국과의 공조 균열이 미국의 입장을 곤혹스럽게 한다'는 제목의 해설기사에서 한미 양국 정부는 지난 2년간 대북정책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질주했으며그 결과 극복하기 쉽지 않은 차이를 노정했다고 분석했다. 이 신문은 북한이 한미간균열에 쐐기를 박으려 한다고 경고했다. WSJ은 각국 한반도 전문가들의 견해를 인용, 부시 행정부의 강경 노선과 햇볕정책 거부가 갈등의 씨앗이며, 그 시발점은 2001년 초 김대중 대통령이 워싱턴을 방문했을 당시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지적했다. 당시 부시 대통령은 햇볕정책에 대한 원칙적 지지를 표시했으나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에 대한 회의론을 본격 거론하기 시작했고, 이윽고 클린턴 행정부의 대북정책을 전면 재검토하라는 명령이 떨어졌다. 한국은 대북구상에서 장기전략을 짠 반면 부시 행정부는 분명히 다른 전략을 구사했다. 부시 대통령은 2001년 6월 북한과 대화할 용의가 있다고 밝혔지만 군축이라는 토를 달았고 이는 협상의 여지를 없애는 촉매로 작용했다. 한국 관리들은 우려를 금치 못했지만 부시 행정부내 매파 관료들은 북한이 제안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사실을 `이미 다 아는 결론'으로 알고 있었다는 게 WSJ의 분석이다. WSJ은 그러나 한미간에 이처럼 이견의 골이 깊어진다면 결국 부시 행정부가 직면하게 될 위험도 커진다고 경고했다. 신문은 한중 외교부 관리들이 2일 베이징에서 회동하고 한러 간 협의도 곧 개최되는 등 북핵해결을 위한 4강 연쇄협의가 숨가쁘게 펼쳐지고 있다고 소개하면서 그러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카드로는 거물급 인사가 해결사로 나서야한다고 지적했다. 지난 1994년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이 북한에서 담판을 지었듯이 블라디미르푸틴 러시아 대통령이나 리처드 루가 미 상원 외교위원장 내정자 같은 거물이 직접팔을 걷어붙이고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서울=연합뉴스) 옥철기자 oakchul@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