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국당 비주류 인사들의 입지가 점점 좁아지고 있다.

4일 창당한 국민신당은 이들의 조기 합류를 기대하고 있는 눈치이고 당내
주류측은 "반DJP연대" 불가론으로 탈당을 압박, 이들의 당 잔류가 어려운
실정이다.

그렇다고 당을 떠나기도 쉽지 않다.

국민회의와 자민련, 신한국당이 "청와대의 신당 지원설"로 3각 포위작전을
펼쳐 탈당을 결행할 경우 불필요한 오해를 살수 있기 때문이다.

행동통일이 쉽지 않은 것도 비주류측의 향후 행보를 어둡게 하고 있다.

각 정파마다 현시국을 보는 견해가 조금씩 달라 "결단"을 내려야 하는
"막판"에 몰려도 한 방향으로 힘을 싣기를 기대하기도 어렵다.

또 지금처럼 계속 머뭇거리다가는 오갈데 없는 신세가 되는게 아니냐는
불안감도 팽배해 있다.

비주류의 당내투쟁을 상징하는 국민연대의 속사정을 살펴보면 이같은 모습은
극명하게 드러난다.

신상우 박관용 의원 등 부산.경남지역 인사들은 국민연대를 통해 세를 확산,
"반DJP연대"를 엮어내려 했던 당초 구상이 이회창 총재의 후보직 고수로
분명한 한계에 봉착한 만큼 탈당에 비중을 두고 있다.

그러나 당장 행동을 개시하자니 "국민신당=YS당"라는 세간의 의혹을 인정
하는 모습으로 비칠까 당분간 구체적인 행동을 보류하고 있다.

서청원 김정수 의원 등은 당내 반이세력을 규합, 준원내교섭단체 성격의
"원내구락부"를 만들어 이총재에 대한 압박을 계속하겠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민주당 조순 총재가 실리보다는 명분을 이유로 이총재쪽으로 연대의
가닥을 잡아감에 따라 이들 역시 "탈출구"가 보이지 않고 있다.

그러나 정치권에서는 여러가지 난제에도 불구, 비주류측의 대다수는
국민신당 창당을 계기로 서서히 입장을 정리하고 며칠안으로 결판을 내야
한다는 쪽으로 분위기가 잡혀가고 있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총재가 분명한 입장을 밝히지 않을 경우 이총재를 제외한 "반DJP연대"를
적극 추진한다는 방침이나 결국은 세간의 의혹을 무릅쓰더라도 탈당하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우세하다.

여권 내부사정이 지금처럼 민정계와 민주계간 세대결 양상으로 치달을 경우
탈당 이외에는 선택이 없기 때문이다.

<김태철 기자>

(한국경제신문 1997년 11월 6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