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선거 논란으로 일주일째 시위가 계속되고 있는 이란에서 인터넷 단문메시지 서비스 '트위터(Twitter)'가 시위 참가자들의 커뮤니케이션 통로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지난 12일 대선 이후 이란 정부는 신문과 방송을 엄격히 통제하고,선거 관련 소식을 전하는 인터넷 홈페이지를 봉쇄하며,외국 위성방송을 차단하는 등 철저히 정보를 차단하고 있다. 하지만 지금 이란인들은 트위터를 통해 재빠르게 정보를 전하고,심지어 시위를 조직화하기까지 하고 있다.

트위터는 140자 이내의 짧은 문구를 올리는 실시간 마이크로 블로깅을 말한다. 웹에 접속하지 않더라도 휴대폰 문자메시지나 스마트폰 같은 휴대기기로도 글을 올릴 수 있다. 메시지 수신을 신청해 지지자(팔로어)가 되면 새 글이 올려질 때마다 받아 읽을 수 있다.

트위터의 최대 장점은 '속도'다. "이스파한에서 시위 도중 사망자 발생(사진있음) http://su.pr/2uCRXD #이란선거" "모인 사람들이 굉장히 친절했습니다. 다들 물을 나눠 마셨어요. 가족처럼요" 등의 메시지가 트위터에 올라오면 제꺽 '지지자'들의 네트워크를 타고 확산된다.

이란 당국은 단속에 나서고 있지만 특정 IP(인터넷주소)만 막으면 접속이 차단되는 홈페이지와 달리 트위터는 프록시라는 우회경로를 통해 연결할 수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

힐러리 클린턴 미국 국무장관은 17일 기자회견에서 "전 세계 사람들이 트위터로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며 "이 같은 소통의 자유를 미국은 강하게 지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 경제주간지 비즈니스위크는 "미국 정부가 구글이나 트위터를 중요한 외교적 수단으로 간주하기 시작했다"며 이를 가리켜 "트위터 민주주의"라고 전했다.

구글과 페이스북은 19일 긴급 페르시아어 번역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프란츠 오흐 구글 선임 연구원은 "이란에서 발생한 사건에 대해 지대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며 "이란과 그 바깥 세계의 정보 접근성이 개선되는 데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고 뉴욕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말했다.

조귀동 기자 claymor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