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석유화학 1위 업체인 LG화학이 오는 9월부터 주요 공장 생산직을 대상으로 4조2교대 근무제를 본격 시작한다. 창사 이후 처음이다. 기존보다 길게 일하고 그만큼 오래 쉬는 제도로 전환하는 것이다.

LG화학은 12일 노사협의회를 통해 전남 여수공장과 나주공장, 충남 대산공장에서 9월 3일부터 4조2교대 근무를 하기로 결정했다. 1년간 시행한 뒤 평가를 거쳐 완전 전환 여부를 확정하기로 했다. 4조2교대는 근무조를 4개로 나눠 2개 조가 주·야간 12시간을 근무하고, 나머지 2개 조는 쉬는 형태다. 이틀 일하고 이틀 쉬는 사실상 주 3일 근무와 비슷하다. 기존 근무 형태인 4조3교대는 하루 8시간 근무하며 3일 일하고 하루 쉬는 구조다.

LG화학은 지난 2월 일부 단일공장에서 4조2교대로 근무 방식을 시범적으로 바꿨다. 이 과정에서 50대 고연령 근로자들이 체력 부담을 느끼며 갑론을박도 있었다. 하지만 ‘일과 삶의 균형’(워라밸)을 중시해 4조2교대를 선호하는 직원이 더 많았다. 업계 관계자는 “LG화학이 범용성 석유화학 공정을 구조조정하는 과정인 터라 불만을 줄이기 위해 직원들 근무 편의를 최대한 보장하자는 판단을 한 것 같다”고 해석했다.

최근 석유화학을 포함해 정유, 철강 등의 생산 현장에서 MZ세대(밀레니얼+Z세대) 직원이 늘며 4조2교대로 전환하는 기업이 많아지고 있다. 석유화학업체 중에서는 한솔그룹 계열사인 한솔케미칼이 이달부터 4조2교대를 먼저 시행했다. 롯데케미칼도 노조를 대상으로 4조2교대 전환에 관한 의견을 묻고 있다. SK이노베이션 등 정유 4사는 이미 4조2교대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포스코는 2011년 해당 체제를 가장 먼저 도입했다. 현대제철은 3월부터 순차적으로 4조2교대로 모든 공장을 가동 중이다.

김형규 기자 kh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