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글라이더형 극초음속미사일' 첫 성공…요격 어려워 위협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사거리 4천㎞ 이상으로 괌·일본에 있는 美증원전력 표적
북한이 불규칙한 비행궤적으로 요격이 어려운 글라이더형 극초음속 미사일을 시험발사해 처음으로 성공한 것으로 보인다.
고체연료 중장거리 발사체에 탑재돼 발사되는 글라이더형 극초음속 무기는 사거리가 4천㎞ 이상으로 괌과 일본에 있는 미군 증원 전력을 사정권에 둔 것으로 평가된다.
북한은 3일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새로 개발한 극초음속 활공비행 전투부(탄두)를 장착한 신형 중장거리 고체탄도 미사일 '화성포-16나' 형의 시험발사에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통신은 "극초음속 활공비행 전투부는 예정된 비행궤도를 따라 1차 정점고도 101.1㎞, 2차 정점고도 72.3㎞를 찍으며 비행해 사거리 1천㎞ 계선의 조선동해상 수역에 정확히 탄착됐다"고 전했다.
발사체에 분리된 탄두부가 탄도탄 요격망 회피를 위한 불규칙한 비행을 하면서 표적을 타격하는 데 성공했다는 주장으로 보인다.
조선중앙통신의 보도 사진을 보면 '화성포-16나'는 이동식발사대에 탑재되는 미사일로 1, 2단 추진체로 구성돼 있다.
지난달 북한이 실험에 성공했다고 주장한 중장거리 극초음속 미사일용 고체연료 엔진을 장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탄두부에 장착된 극초음속 활공체(HGV)는 그동안 북한이 주로 시험발사한 원뿔형이 아닌 날개가 달린 비행체 형태의 글라이더형이다.
신종우 한국국방안보포럼 전문연구위원은 "북한이 원뿔형 선회비행에는 성공한 적이 있는데, 이번에 글라이더형에서 처음으로 유의미한 성과를 얻은 것으로 보인다"며 "글라이더형은 원뿔형에 비해 제어가 어렵지만, 탄도탄 방어망을 회피하기 위한 변화무쌍한 활공비행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북한은 2021년 9월 '화성-8' 형(1단 추진체)에 글라이더형 HGV를 탑재해 시험발사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
이번에 '화성포-16나' 형에 탑재한 글라이더형 HGV는 음속의 5배 이상으로 속도를 내는 등 시험에 성공한 것으로 보인다고 신 연구위원은 평가했다.
장영근 국가안보전략연구원 미사일센터장도 "(이번에 북한이 발사한) HGV는 2021년 9월 북한의 첫 극초음속 미사일 시험발사와 열병식과 전시회에서 선보였던 웨지형(글라이더형의 일종) 비행체로 월등한 비행 능력을 선보였을 것"으로 추정했다.
장 센터장은 "그동안 북한이 시험발사했던 극초음속 미사일에는 대기권에서 양력 획득이 어려운 원뿔형의 HGV가 탑재돼, 실질적인 극초음속 미사일이냐는 놓고 논란이 있었다"면서 "북한이 이제야 실제적 극초음속 미사일과 HGV를 개발해 처음 시험발사한 것으로 규정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북한이 전날 시험발사한 극초음속 미사일은 한국과 일본의 레이더망에 완전히 포착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한국군 합동참모본부와 일본 방위성은 이 미사일의 사거리가 각각 600여㎞, 650㎞라고 발표했지만, 북한은 사거리를 1천㎞로 줄여 시험발사했다고 밝혔다.
장 센터장은 "우리 군이 시험발사 탐지 궤적에 대해 발표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어제 북한이 발사한 극초음속 미사일의 불규칙한 기동으로 발사 궤적을 탐지하는 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북한이 개발 중인 극초음속 미사일의 사거리는 4천㎞ 이상으로, 미군 증원 전력을 겨냥하고 있다.
신 연구위원은 "북한의 극초음속 미사일은 탄도탄 요격망이 촘촘한 주일미군과 괌 기지 등 미군 증원 전력을 공격하기 위한 의도로 개발되고 있다"며 "사거리는 4천㎞ 이상으로 추정된다"고 분석했다.
장 센터장도 "어제 발사된 북한의 극초음속 미사일은 비행속도가 음속의 15∼18배는 될 것"이라고 추정하면서 "사거리는 4천500㎞는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북한의 첫 HGV 시험은 급한 대로 액체연료 추진체를 사용했지만, 이제 극초음속 미사일에도 고체연료 추진체를 사용해 신속한 발사 및 운용이 가능해진 것으로 보인다"면서 "북한은 또한 핵무기화를 완전무결하게 실현했다고 강조해 극초음속 미사일에도 핵무기를 탑재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드러냈다"고 진단했다.
/연합뉴스
고체연료 중장거리 발사체에 탑재돼 발사되는 글라이더형 극초음속 무기는 사거리가 4천㎞ 이상으로 괌과 일본에 있는 미군 증원 전력을 사정권에 둔 것으로 평가된다.
북한은 3일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새로 개발한 극초음속 활공비행 전투부(탄두)를 장착한 신형 중장거리 고체탄도 미사일 '화성포-16나' 형의 시험발사에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통신은 "극초음속 활공비행 전투부는 예정된 비행궤도를 따라 1차 정점고도 101.1㎞, 2차 정점고도 72.3㎞를 찍으며 비행해 사거리 1천㎞ 계선의 조선동해상 수역에 정확히 탄착됐다"고 전했다.
발사체에 분리된 탄두부가 탄도탄 요격망 회피를 위한 불규칙한 비행을 하면서 표적을 타격하는 데 성공했다는 주장으로 보인다.
조선중앙통신의 보도 사진을 보면 '화성포-16나'는 이동식발사대에 탑재되는 미사일로 1, 2단 추진체로 구성돼 있다.
지난달 북한이 실험에 성공했다고 주장한 중장거리 극초음속 미사일용 고체연료 엔진을 장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탄두부에 장착된 극초음속 활공체(HGV)는 그동안 북한이 주로 시험발사한 원뿔형이 아닌 날개가 달린 비행체 형태의 글라이더형이다.
신종우 한국국방안보포럼 전문연구위원은 "북한이 원뿔형 선회비행에는 성공한 적이 있는데, 이번에 글라이더형에서 처음으로 유의미한 성과를 얻은 것으로 보인다"며 "글라이더형은 원뿔형에 비해 제어가 어렵지만, 탄도탄 방어망을 회피하기 위한 변화무쌍한 활공비행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북한은 2021년 9월 '화성-8' 형(1단 추진체)에 글라이더형 HGV를 탑재해 시험발사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
이번에 '화성포-16나' 형에 탑재한 글라이더형 HGV는 음속의 5배 이상으로 속도를 내는 등 시험에 성공한 것으로 보인다고 신 연구위원은 평가했다.
장영근 국가안보전략연구원 미사일센터장도 "(이번에 북한이 발사한) HGV는 2021년 9월 북한의 첫 극초음속 미사일 시험발사와 열병식과 전시회에서 선보였던 웨지형(글라이더형의 일종) 비행체로 월등한 비행 능력을 선보였을 것"으로 추정했다.
장 센터장은 "그동안 북한이 시험발사했던 극초음속 미사일에는 대기권에서 양력 획득이 어려운 원뿔형의 HGV가 탑재돼, 실질적인 극초음속 미사일이냐는 놓고 논란이 있었다"면서 "북한이 이제야 실제적 극초음속 미사일과 HGV를 개발해 처음 시험발사한 것으로 규정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북한이 전날 시험발사한 극초음속 미사일은 한국과 일본의 레이더망에 완전히 포착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한국군 합동참모본부와 일본 방위성은 이 미사일의 사거리가 각각 600여㎞, 650㎞라고 발표했지만, 북한은 사거리를 1천㎞로 줄여 시험발사했다고 밝혔다.
장 센터장은 "우리 군이 시험발사 탐지 궤적에 대해 발표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어제 북한이 발사한 극초음속 미사일의 불규칙한 기동으로 발사 궤적을 탐지하는 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북한이 개발 중인 극초음속 미사일의 사거리는 4천㎞ 이상으로, 미군 증원 전력을 겨냥하고 있다.
신 연구위원은 "북한의 극초음속 미사일은 탄도탄 요격망이 촘촘한 주일미군과 괌 기지 등 미군 증원 전력을 공격하기 위한 의도로 개발되고 있다"며 "사거리는 4천㎞ 이상으로 추정된다"고 분석했다.
장 센터장도 "어제 발사된 북한의 극초음속 미사일은 비행속도가 음속의 15∼18배는 될 것"이라고 추정하면서 "사거리는 4천500㎞는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북한의 첫 HGV 시험은 급한 대로 액체연료 추진체를 사용했지만, 이제 극초음속 미사일에도 고체연료 추진체를 사용해 신속한 발사 및 운용이 가능해진 것으로 보인다"면서 "북한은 또한 핵무기화를 완전무결하게 실현했다고 강조해 극초음속 미사일에도 핵무기를 탑재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드러냈다"고 진단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