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교수들 "중증·응급환자 집중 위한 불가피한 선택"
동네 의원도 '주 40시간' 진료 선언…참여 정도는 미미할 듯
교수들 진료 최소화 첫날…응급실 기능 축소·환자 '전전긍긍'(종합)
의대 교수들이 전공의들의 업무공백 장기화로 한계에 부딪혔다며 1일부터 근무 시간을 축소해 현장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의료계는 근무 시간 단축 첫날인 만큼 큰 변화는 없다면서도, 교수들이 '어떻게', '얼마큼' 진료와 수술을 줄일지 예의주시하고 있다.

특히 의료 공백이 장기화로 이미 기능을 축소한 대형병원 응급실은 더 큰 타격을 받을 전망이다.

동네 병의원 등을 운영하는 개원의들도 이날부터 '주 40시간' 진료를 선언한 만큼 환자들이 불편이 가중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다만 개원의들의 특성상 참여 수준은 미미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교수들 진료 최소화 첫날…응급실 기능 축소·환자 '전전긍긍'(종합)
◇ 대형병원 이미 수술 '반토막'…응급실 상황 더 악화
1일 의료계에 따르면 전국 의과대학·대학병원 교수들은 이날부터 중증·응급환자 진료를 유지하고자 외래와 수술을 대폭 조정하기로 했다.

앞서 전국의대교수비상대책위원회(전의비)는 이날부터 교수들이 24시간 연속근무 후 익일 주간 업무를 '오프'하고, 수련병원별로 외래와 수술을 조정한다고 밝혔다.

또 다른 의대 교수단체인 전국 의과대학 교수협의회(전의교협)도 이에 보조를 맞춰 외래 진료를 최소화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의대 교수들은 환자를 지키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지난 2월 전공의들이 의대 증원에 반발해 집단으로 사직서를 제출한 후 병원을 떠난 지 50일이 가까워지면서 '신체적·정신적 한계'에 직면했다는 얘기다.

주요 병원들은 전공의 이탈 후 수술을 절반 가까이 줄였지만, 상황이 장기화하면서 교수들은 이마저도 유지하기 힘들다고 호소하고 있다.

그동안 교수들은 수술과 외래 진료, 입원환자 관리와 주야간 당직 등을 도맡아왔다.

진료 축소는 병원에서 일괄적으로 정하지 않고, 교수들이 과목별 인력 상황에 맞춰 결정하기로 했다.

서울시내 '빅5' 병원 관계자는 "교수들이 외래진료를 축소한다고 해도 하루 이틀 만에 조정할 수 있는 게 아니어서 당장은 변동이 없다"며 "당직 시스템도 손봐야 해서 단기간에 조정이 되진 않을 것"이라고 했다.

다른 대형병원 관계자 역시 "현재 진료 상황은 지난주와 비슷한 수준"이라며 "각 진료과별로 조정하겠지만, 아직 특별한 변동은 없다"고 전했다.

서울의 한 수련병원 교수는 "교수들이 실력 행사를 하려고 진료를 줄이겠다는 게 아니라, 정말 이제는 한계에 다다랐기 때문이라는 점을 알아달라"고 호소했다.

수술과 외래진료 축소와는 별개로 응급실 상황은 나날이 악화하고 있다.

응급의학과 전문의 등 교수들이 번갈아 당직을 서면서 지켜왔지만, 절대적인 인력 부족 탓에 기능 축소가 불가피한 것으로 전해졌다.

중앙응급의료센터에 따르면 서울아산병원 응급실은 이날 거미막하출혈(지주막하출혈)과 같은 뇌출혈 환자도 받지 못한다고 공지했다.

서울아산병원은 뇌출혈 수술 후 머물러야 하는 중환자실에 여석이 없는 탓에 환자를 받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서울성모병원 응급실도 지난주부터 '비응급 경증 환자'는 수용할 수 없다고 못을 박았다.

교수들 진료 최소화 첫날…응급실 기능 축소·환자 '전전긍긍'(종합)
◇ 동네 병의원도 '주 40시간' 추진…집단행동 피해 상담 2천건 육박
1차 의료기관인 동네 병의원을 중심으로 하는 대한의사협회(의협)도 이날부터 진료 축소에 동참한다고 선언했다.

의협 비상대책위원회는 전날 회의를 열어 개원의도 주 40시간 진료 시간을 지키기로 결론 내렸다.

주말과 야간 진료를 축소하면서 주 40시간을 맞출 방침이다.

이에 따라 동네 의원에서의 주말이나 야간 진료 등이 일부 어려워질 전망이다.

다만 의료계 안팎에서는 대부분 자영업자인 개원의들이 적극적으로 '진료 축소'에 참여할지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시각을 보인다.

과거 의료계의 집단행동은 대부분 전공의와 같은 젊은 의사들이 주도했고, 개원의들은 짧게 참여하는 데 그쳤던 만큼 과거와 비슷한 양상으로 흘러가지 않겠느냐는 것이다.

동네의원은 애초 평일에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진료하는 경우가 많은 편이므로 '주 40시간' 진료했을 때의 체감이 크지 않다는 분석도 나온다.

그러나 정부가 의대 증원 '2천명'에 쐐기를 박은 상황에서 전공의들의 집단행동이 예상치 못하게 길어지고 있고, 교수들마저 사직을 각오하는 등 의료계의 분위기가 심상치 않은 탓에 과거와는 다를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대형병원이 수술과 진료를 대거 축소한 탓에 동네의원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해진 만큼, 개원가에서 진료를 조금이라도 줄이면 예년보다 파급력이 클 수 있다.

서울에서 산부인과를 운영하는 개원의 A씨는 "정부가 의료 정책에 반대하는 의사들을 모두 돈 때문인 양 몰아가는 데 대한 반감이 큰 상황"이라며 "의사들 사이의 회의감이 심각한 상황이어서 진료를 축소하는 분위기가 확산할 것"이라고 말했다.

맞벌이 부부가 많이 이용하는 주말 진료가 축소되면 실질적인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환자들은 당장의 불편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걱정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서울에서 두살짜리 아이를 키우는 30대 여성 B씨는 "평일에는 직장에 출근해야 하다 보니 아이도, 나도 주말에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은데 당장 진료가 줄어들까 봐 걱정"이라고 토로했다.

보건복지부의 의사 집단행동 피해신고·지원센터에 지난 29일 접수된 총상담 수는 50건, 이 중 피해 신고는 9건이다.

지난 2월 19일부터 3월 29일까지 의사 집단행동 피해신고·지원센터에 들어온 총상담 수는1천978건에 달한다.

이 중 피해신고는 602건이고, 수술 지연이 403건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