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11일 태영건설 워크아웃(기업구조개선작업) 사태가 시스템 리스크로 확산할 가능성은 작다고 평가했다. 태영건설은 특수한 사례이며 “한은이 나설 때는 아니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이날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회의 후 기자간담회에서 “한은은 특정 산업이나 특정 기업의 위기에 대응하지 않는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태영건설 사태에 대해 “태영건설은 부채비율과 자기자본 대비 보증액 등이 다른 건설회사에 비해 차별화되게 높은 수준”이라며 “위험관리가 잘못된 대표적인 케이스로, 부동산이나 건설업 위기로 번져 시스템 리스크로 변할 가능성은 작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한은의 유동성 지원 가능성에 대해서는 “없다”고 일축했다. 이 총재는 “개별 산업과 기업은 정부가 잘 관리하고 있다”며 “정부가 채권시장안정펀드를 통해 유동성을 지원하는 것과 한은의 발권력을 동원한 유동성 지원은 용어는 같지만 아예 다른 얘기”라고 말했다.

또 “한은의 개입이 가능한 시점은 개별 사례가 시장 불안정으로 이어지는 경우”라며 “지금은 그런 상황은 아니다”고 말했다. 한은이 할 수 있는 다양한 시장 안정조치를 ‘대포와 소총’에 비유하면서 “대포를 쏠 수도 있고 소총으로 막을 수도 있지만 지금은 소총도 쓸 정도가 아니라는 뜻”이라고 부연했다.

한은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이 금융 안정에 악영향을 줄 가능성이 이전보다 커졌다는 점은 인정하고 있다. 금통위 결정문에 ‘부동산 PF 관련 리스크가 증대됐다’는 문구를 처음으로 포함하는 등 금융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파급 상황을 주시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