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흰불나방 피해를 입은 나뭇잎. /사진=산림청
미국 흰불나방 피해를 입은 나뭇잎. /사진=산림청
한강공원을 찾는 사람들을 중심으로 '송충이주의보'가 내려졌다. 한강뿐 아니라 올가을 전국에 송충이가 집단으로 발생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최근 사회관계망서비스에는 "한강공원에 요즘 송충이 괜찮냐"는 문의와 "피크닉을 하는데 하늘에서 송충이가 비처럼 내려온다", "한강 산책로에 송충이들 투성이"라는 목격담이 이어지고 있다. 그늘 아래 가만히 있어도 어깨 위로 떨어질 정도로 그 수가 상당하다는 반응이다.

이 벌레는 송충이가 아닌 미국흰불나방 유충으로 알려졌다. 지난해부터 올해 여름철까지 서울시 은평구를 중심으로 출몰한 '러브버그'로 불리는 붉은등우단털파리가 토양을 비옥하게 하는 익충인 데 비해 미국흰불나방 유충은 활엽수 잎을 갉아 먹으며 주로 도심의 가로수·조경수·농경지 과수목 등에 피해를 주는 해충으로 분류된다. 1958년 북미에서 한국으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미국흰불나방 유충은 1년에 2회 정도 발생하며, 성충은 한 마리가 600~700개의 알을 잎 뒷면에 낳는다. 주로 여름철 벚나무·포플러 등 다양한 활엽수의 잎을 갉아 먹는다. 이 나방은 2019년 이후 감소하다가 올해 폭염·폭우 영향으로 유충의 생존·활동량이 늘어나고 성충 발생 시기도 예년보다 빨라져 피해가 커졌다. 이상기온 탓에 요즘에는 10월까지 출몰하고 있다.

미국 흰불나방 피해가 전국으로 확대되면서 지방자치단체들이 긴급 방제에 나서고 있다. 지자체들은 가로수와 주택가를 돌며 긴급 방제작업을 하고 있다. 하지만 정확한 피해 상황은 집계되지 않고 있다.

산림청은 지난 8월 흰불나방 확산으로 인해 제주를 제외한 전국에 내려진 산림병해충 발생 예보를 '관심'에서 '경계' 단계로 상향 조절했다. 경계 단계는 외래·돌발 병해충이 2개 이상 시군으로 확산하거나 50㏊ 이상의 피해 발생 시 발령된다. 이와 더불어 유충 활동 시기인 9월까지 집중하여 방제했지만, 한계가 있었다는 반응이다. 특히 한강공원의 경우 상수도 보호구역으로 지정돼있어 살충제 등 화학약품은 사용할 수 없어 방제에 더 어려움을 겪고 있다.

김소연 한경닷컴 기자 sue12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