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표 '모아타운' 경기로 확산…고양서 3곳 추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행신동 204 일대 가라뫼 지역
관리계획 수립…내년 승인 목표
경기권 후보지만 12곳 달해
공사비 인상 등 사업추진 변수
"준비단계부터 주민 소통 강화를"
관리계획 수립…내년 승인 목표
경기권 후보지만 12곳 달해
공사비 인상 등 사업추진 변수
"준비단계부터 주민 소통 강화를"
서울에서 이른바 ‘모아타운’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소규모주택정비 관리지역 사업이 경기권으로 확대되고 있다. 수도권 집값이 상승세를 지속하는 데다 서울에서 모아타운 ‘성공 사례’가 잇따르자 경기도도 영향을 받고 있다는 평가다. 하지만 서울보다 상대적으로 사업성이 부족한 구역이 많아 도시계획을 통한 인센티브 확보 등 지방자치단체가 더 적극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소규모주택정비 특례법’에 따르면 소규모주택정비 사업을 여러 개 묶어 관리지역으로 개발하면 한 단계씩 종상향 혜택을 볼 수 있다. 1종에서 2종으로 상향되면 용적률 인센티브 약 50%포인트(180%→230%), 2종에서 3종은 20%포인트(230%→250%)를 추가로 받을 수 있다. 저층 노후 빌라가 대다수인 가라뫼 지역은 3종으로 상향돼 15층 전후의 아파트 단지로 개발이 가능할 수 있다는 기대가 나온다. 고양시 관계자는 “주민공람과 경기도 심의 등을 거쳐 내년 상반기 최종 승인·고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구일산’으로 불리는 고양시 일산2동과 주교동 등지에서도 추진 움직임이 본격화하고 있다. 고양시는 약 5개 소규모주택정비 사업지를 합쳐 사업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경기도에서 소규모주택정비 관리지역 후보지로 선정된 곳은 가라뫼 지역을 포함해 총 12곳이다. 안양 만안도서관 동쪽, 부천 소사본동 부천한신아파트 남측과 부천북초 남측, 고강동 고강선사유적공원 동쪽 등도 관리계획 수립을 시행하고 있다.
수원 권선구 세류2동 등 다섯 곳은 관리지역 고시를 마쳐 사업이 본궤도에 올랐다. 성남 태평동 성남여중 서쪽, 중앙동 단대오거리 남측, 동두천 생연동 490의 8, 광명시 광명7동 298의 8 일원 등 상대적으로 사업성이 높은 경기 남북권에 포진해 있다. 성남 태평동과 중앙동은 각각 2000가구 규모에 달한다.
서울 모아타운 1호인 강북구 번동 시범사업(조감도)은 지난달 말 관리처분계획과 설계를 확정했다. 최고 35층, 1242가구가 들어서는 이 단지는 내년 상반기 착공해 2026년 입주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비업계 관계자는 “통상 정비사업 사업시행인가까지 6~7년 이상 걸리는 것과 비교하면 5~6년 단축되는 것”이라며 “사업을 추진 중인 다른 구역에 상당한 자극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 내 모아타운 대상지는 총 67곳에 달한다.
경기권의 경우 사업 속도가 느리고 가로주택 등 소규모 사업으로 선회하려는 움직임이 적지 않은 게 한계로 꼽힌다. 실제 경기권에선 관리계획을 확정한 곳이 아직 한 곳도 없다. 공사비 인상으로 소규모 사업의 매력이 떨어지는 것도 변수다. 정광섭 고양시 도시재생센터장은 “서울시 모아타운 사례처럼 사업준비 단계부터 주민 소통을 강화하고 올바른 정보 제공으로 참여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유정 기자 yjlee@hankyung.com
○고양시 1호 모아타운 박차
25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고양시 덕양구 행신동 204 일대(가라뫼 지역) 소규모주택정비 관리지역은 최근 관리계획 수립에 들어갔다. 대상지는 햇빛마을 24단지 인근 노후 저층 주거지 밀집지역(면적 7만8934㎡)이다. 지난해 7월 국토교통부 소규모주택정비 관리지역 후보지에 선정된 곳이다. 고양시는 지난 21일 사업 설명회를 열고 총 7개 사업 단위로 설정해 중규모의 주택단지 조성이 가능하도록 관리계획을 마련하겠다는 방침을 공개했다.‘소규모주택정비 특례법’에 따르면 소규모주택정비 사업을 여러 개 묶어 관리지역으로 개발하면 한 단계씩 종상향 혜택을 볼 수 있다. 1종에서 2종으로 상향되면 용적률 인센티브 약 50%포인트(180%→230%), 2종에서 3종은 20%포인트(230%→250%)를 추가로 받을 수 있다. 저층 노후 빌라가 대다수인 가라뫼 지역은 3종으로 상향돼 15층 전후의 아파트 단지로 개발이 가능할 수 있다는 기대가 나온다. 고양시 관계자는 “주민공람과 경기도 심의 등을 거쳐 내년 상반기 최종 승인·고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구일산’으로 불리는 고양시 일산2동과 주교동 등지에서도 추진 움직임이 본격화하고 있다. 고양시는 약 5개 소규모주택정비 사업지를 합쳐 사업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경기도에서 소규모주택정비 관리지역 후보지로 선정된 곳은 가라뫼 지역을 포함해 총 12곳이다. 안양 만안도서관 동쪽, 부천 소사본동 부천한신아파트 남측과 부천북초 남측, 고강동 고강선사유적공원 동쪽 등도 관리계획 수립을 시행하고 있다.
수원 권선구 세류2동 등 다섯 곳은 관리지역 고시를 마쳐 사업이 본궤도에 올랐다. 성남 태평동 성남여중 서쪽, 중앙동 단대오거리 남측, 동두천 생연동 490의 8, 광명시 광명7동 298의 8 일원 등 상대적으로 사업성이 높은 경기 남북권에 포진해 있다. 성남 태평동과 중앙동은 각각 2000가구 규모에 달한다.
○오세훈표 모아타운, 경기권 확산
국토부가 2021년 ‘2·4 부동산 대책’을 통해 도입한 소규모주택정비 관리지역은 대규모 재개발이 어려운 10만㎡ 미만의 노후 저층 주거지를 하나로 묶어 기반 시설 등을 확충해주는 정비방식이다. 서울에서는 자체 브랜드인 ‘모아타운’으로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신속통합기획과 함께 오세훈 서울시장이 드라이브를 거는 ‘오세훈표 정비사업’이기도 하다.서울 모아타운 1호인 강북구 번동 시범사업(조감도)은 지난달 말 관리처분계획과 설계를 확정했다. 최고 35층, 1242가구가 들어서는 이 단지는 내년 상반기 착공해 2026년 입주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비업계 관계자는 “통상 정비사업 사업시행인가까지 6~7년 이상 걸리는 것과 비교하면 5~6년 단축되는 것”이라며 “사업을 추진 중인 다른 구역에 상당한 자극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 내 모아타운 대상지는 총 67곳에 달한다.
경기권의 경우 사업 속도가 느리고 가로주택 등 소규모 사업으로 선회하려는 움직임이 적지 않은 게 한계로 꼽힌다. 실제 경기권에선 관리계획을 확정한 곳이 아직 한 곳도 없다. 공사비 인상으로 소규모 사업의 매력이 떨어지는 것도 변수다. 정광섭 고양시 도시재생센터장은 “서울시 모아타운 사례처럼 사업준비 단계부터 주민 소통을 강화하고 올바른 정보 제공으로 참여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유정 기자 yj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