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1만원짜리 1장으로 점심 한 끼 마음껏 사 먹기 어려운 시대다. 서울에선 여름철 대표 메뉴인 냉면 1인분 평균 가격은 1만269원(1일 한국소비자원 가격정보 포털 ‘참가격’ 기준)으로 전년(9500원) 대비 8.1% 올랐다.

일부 평양냉면집의 경우 1인분이 1만6000원에 달한다. 직장인·학생들이 즐겨 찾는 비빔밥(9538원) 칼국수(8269원) 등도 곧 1만원을 돌파할 기세다.

이렇다 보니, 요즘 직장인, 대학생들 사이에선 허리띠 졸라매기가 한창이다. 기간을 정해 해당 기간에 한 푼도 쓰지 않겠다는 ‘무지출 챌린지’, 공동구매 등을 통해 한 푼이라도 아끼려는 ‘짠테크(짜다+재테크)’ 등도 성행한다.

도시락으로 점심 해결

서울의 한 편의점에 도시락 등 음식이 진열되어 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의 한 편의점에 도시락 등 음식이 진열되어 있다. 사진=연합뉴스
직장에 직접 도시락을 싸 오거나, 편의점, 프랜차이즈의 저가 도시락을 사 먹는 건 요즘 직장 곳곳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는 행태다. 회사원 이아영 씨(32)는 “주 2회는 직접 도시락을 싸서 출근하고, 나머지 3일은 편의점 등에서 도시락 등을 사 먹는다”며 “도시락을 싸가는 날에는 커피전문점 음료도 마시지 않아 교통비를 제외하곤 지출이 없는 날도 있다”고 말했다.

이런 소비패턴은 각종 데이터에서도 드러난다. 한솥도시락의 지난 6월 오피스 상권 점심시간 대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3% 늘었다. 한솥도시락은 전체 메뉴의 70% 이상이 6000원 이하다. 위메프에서는 지난 4~7월 3개월간 도시락통, 도시락용 수저 세트 등 도시락 관련 상품 매출이 80% 이상 불어났다.

‘공동 주문’으로 배달료 절약

배달료 4000원을 받는 일부 치킨 프랜차이즈 점포가 나타날 정도로 배달료가 오르자 여러 명이 모여 배달 주문하는 문화도 확산하고 있다. 올해 1~6월 당근마켓 ‘동네생활탭’에 올라온 공동 구매자 모집 게시글 수는 전년 동기 대비 45% 늘었다.

당근마켓은 이런 수요를 반영해 지난달 ‘같이사요’ 서비스를 론칭했다. 최진영 당근마켓 같이사요TF장은 “대량으로 물건을 구입해 소분할 사람을 찾거나, 배달비나 최소 주문금액이 부담돼 음식이나 택배를 같이 주문할 사람을 구하는 글이 당근마켓에 많이 올라왔다”며 “이용자들의 수요를 반영해 해당 서비스를 기획하게 됐다”고 말했다.

편의점이나 커피전문점을 이용할 때는 온라인 중고 플랫폼에서 모바일 상품권을 할인가에 구매해 조금이라도 지출을 아끼려는 현상도 나타났다. 올해 4월 중고나라 플랫폼에 등록된 모바일 상품권의 총규모는 약 73억원에서 6월에는 98억원 수준으로 증가했다.

고가 전자기기도 싸게

1일 서울 구로구 개봉동 재고몰 '리씽크'매장에 소형 가전, 패션 잡화 등 다양한 제품이 전시돼있다. 허문찬 기자
1일 서울 구로구 개봉동 재고몰 '리씽크'매장에 소형 가전, 패션 잡화 등 다양한 제품이 전시돼있다. 허문찬 기자
고가 전자기기를 중심으로 재고 시장도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소비자들의 단순 변심으로 반품된 리퍼 상품과 재고상품을 판매하는 티몬의 ‘알뜰쇼핑’ 카테고리 지난 6월 매출은 전달 대비 93% 증가했다. 노트북, 가전제품 등 전자기기 품목의 매출은 3823% 급증했다.

재고만 전문적으로 판매하는 쇼핑몰의 성장세도 무섭다. 2019년 처음 문을 연 리씽크의 지난해 매출은 전년 대비 67% 증가한 536억원을 나타냈다. 한 유통업계 관계자는 “리퍼나 재고 상품은 중고품과 달리 다른 사람의 손을 탔던 제품이 아니라 더 만족도가 높다”며 “인플레 시기에 알뜰한 소비생활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이 몰리고 있다”고 말했다.

이미경 기자 capita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