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제로 코로나’ 방역 정책을 고수하면서 중국에서 열 예정이던 국제 스포츠 행사가 잇달아 파행을 겪고 있다.

아시아축구연맹(AFC)은 지난 14일 중국이 2023년 아시안컵 개최권을 포기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대회 개막일은 내년 6월 16일로 아직 1년 이상 남았음에도 중국은 일찌감치 개최권을 반납했다. AFC는 “중국축구협회(CFA)와 개최권 반납에 대해 오래 논의했으며 CFA가 최종 결정을 통보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6일에는 오는 9월 치를 예정이던 항저우 아시안게임과 6~7월 청두 유니버시아드의 연기를 발표했다.

중국은 올 2월 글로벌 코로나19 확산세 속에 베이징동계올림픽을 예정대로 치러냈다. 올림픽 개막일인 2월 4일 중국 본토 내 신규 감염자는 9명이었다. 그러나 3월부터 중국에서 오미크론 변이가 본격 확산하자 자국에서 열릴 예정이던 국제 스포츠 행사를 잇달아 포기했다.

이는 중국의 제로 코로나19 방역 정책을 유지하기 위한 조치다. 중국은 시진핑 국가주석의 3연임 여부를 결정하는 하반기 당 대회를 앞두고 상하이와 베이징 등에서 코로나19가 확산하자 경제적 타격을 감수해가며 도시를 봉쇄했다.

중국 당국은 외국인 선수단과 관중 등 수만 명의 외국인이 단기간에 입국하면 자국 방역망이 흔들릴 것으로 봤다. 감염 확산으로 인해 중요 정치 이벤트를 앞두고 현 지도부의 중요한 업적으로 홍보하는 방역 성과에 균열이 생겨선 곤란하다는 판단이다.

중국이 내년 여름 개최 예정이던 행사까지 포기하자 중국의 제로 코로나 ‘출구 전략’ 가동 시기를 예측하기가 더 어려워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적어도 올가을 당 대회 때까지는 현재의 방역 정책을 유지할 것이란 전망이다. 일각에선 내년 3월 양회(전국인민대표대회·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까지 끝나야 정책 수정을 기대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제로 코로나 때문에 중국과 국제사회의 연계가 약화할 것이란 우려도 커지고 있다. 펑펑 광둥체제개혁연구회 회장은 “제로 코로나를 고수한 탓에 외국인 투자자가 떠난다면 분명히 걱정해야 할 일”이라고 강조했다.

베이징=강현우 특파원 h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