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양가 비싸도 청약 광클…서버 마비 부르는 오피스텔 [식후땡 부동산]
아파트의 대체재로 넓은 평형 오피스텔인 '아파텔'에 시장 수요가 몰리고 있습니다. 오피스텔 청약 접수를 시작한 홈페이지는 접속자가 몰리며 마비됐고 인근 아파트보다 3배 비싸 고분양가 논란을 빚은 곳은 역대 최고 수준의 경쟁률을 기록했습니다.

아파텔의 인기가 높아졌지만 아파트 가격도 고공행진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서울 소재 전용 84㎡ '국민평형' 아파트 가운데 전세보증금이 15억원을 넘는 단지가 53곳이 됐습니다. 3년 새 18배 늘어난 것인데, 그 여파로 임대차 시장에서 월세 비중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오늘도 부동산 관련 뉴스를 전해드리겠습니다.

◆높은 가격에도 수요자 몰리는 오피스텔…청약 열기 고조

첫 번째 뉴스입니다. 청약 접수를 시작한 '신길 AK푸르지오 오피스텔'에는 청약 신청 희망자가 몰리면서 홈페이지(누리집) 서버가 일시 마비됐습니다. 지난 9월 분양한 인근 아파트보다 분양가가 1억원 가량 높지만 인기가 뜨거운 셈입니다. 인근 아파트보다 분양가가 3배 이상 비싸다는 평을 받은 오피스텔 '힐스테이트 과천청사역'도 89실 모집에 12만4427명이 몰려 1398대 1의 평균 경쟁률을 기록했습니다.

오피스텔 청약 신청자가 몰린 것은 아파트에 비해 규제가 적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오피스텔은 주택법이 아닌 건축법을 적용받기에 청약통장이 필요하지 않고, 100% 추첨으로 당첨자를 선정합니다. 청약시 주택 소유 여부를 따지지 않고 취득세 중과 대상에서도 빠집니다. 100가구 미만 오피스텔은 전매 제한 규제까지 피할 수 있어 청약 가점이 낮은 실거주 수요와 웃돈(프리미엄)을 노린 투기 수요가 모두 몰렸다는 평이 나옵니다.

◆서울 '국민평형' 아파트도 전세 15억원 시대…월세 가속화

‘국민평형’이라 불리는 전용면적 84㎡ 아파트의 문턱이 점차 높아지고 있습니다. 전세보증금 15억원이 넘는 전용 84㎡ 서울 아파트 단지는 2018년 3곳에 불과했는데 올해는 벌써 53곳으로 늘었습니다. 아직 올해 11월과 12월이 남았으니 그 수는 더 늘어날 전망입니다. 여기에 더해 내년에도 전세가 고공행진이 이어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옵니다. 3기 신도시 사전청약 등으로 전세 수요가 많아진 데다 내년 서울 아파트 입주물량은 늘지 않고, 계약갱신청구권이 만료되는 전세물도 나올 예정인 탓입니다.

전세가가 높아진 탓에 임대차 시장에서 월세 비중도 점차 높아지고 있습니다. 국토부는 올해 9월까지 서울 아파트 임대차 거래에서 39.9%가 월세인 것으로 집계했습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 30.1%를 기록했던 것에 비하면 9.8%포인트 상승한 것입니다. 다세대·다가구 월세 비중도 절반에 육박할 정도로 높아졌습니다. 지난 9월까지 전국 비(非)아파트 임대차 거래에서 월세 비중은 47.9%를 기록했습니다.

◆정부 46만 가구 공급목표 '빨간불'…9월까지 27만 가구 그쳐

올해 전국에 46만 가구의 주택을 공급한다는 정부의 계획에 빨간불이 들어왔습니다. 9월까지 전국에 준공된 주택이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24.6% 감소한 27만 가구에 그쳤기 때문입니다. 이 가운데 아파트는 20만1909가구였습니다. 정부는 4분기 19만 가구를 준공해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만, 시장 전문가들의 예상은 다릅니다.

부동산114는 올해 전국 아파트 입주 및 입주예정 물량을 정부 목표치 32만2000가구보다 4만 가구 가까이 적은 28만3675가구로 집계했습니다. 유경준 국민의힘 의원실도 국토부로부터 제출 받은 자료를 분석해 올해 주택 준공물량을 39만1195가구로 전망했습니다. 그간의 통계를 봐도 남은 3개월 사이에 19만 가구를 준공하기는 어렵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국토부 주택건설실적 통계에 따르면 2010년 7월부터 올해 9월까지 월별 준공물량이 6만 가구를 넘은 경우는 5번밖에 없었습니다.

◆리모델링 하면서 도로·공원 만들면 용적율 20%p 상향

서울시가 공공주택 리모델링에서 용적률 완화 기준을 제시하는 '서울형 공동주택 리모델링 운용기준'을 처음으로 수립했습니다. 도로·공원 등 기반시설을 정비하면 최대 20%포인트, 녹색건축물을 조성하면 최대 20%포인트, 열린놀이터, 공유주차면 등 지역 친화 시설을 설치하면 최대 30%포인트, 상업시설 등 가로를 활성화하면 최대 10%포인트의 용적률 완화(주거전용면적 증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그간 공공주택 리모델링은 주택법에 따라 주거전용면적의 30~40%까지 증축할 수 있었지만, 공공성 확보에 대한 별도 규정 없이 건축위원회에 판단을 일임해야 해 '깜깜이'라는 지적이 있었습니다. 정비업계는 이번 운용기준으로 사업요건이 명확해졌다고 반기는 분위기입니다. 서울시는 4~19일 주민열람 공고를 실시하고 시의회 의견 청취,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거쳐 내년 1월 최종고시한다는 계획입니다.

식후땡 부동산은 한국경제신문 홈페이지와 모바일, 앱에서 '오디오'로 쉽게 들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