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 막판에 여당 선대위원장이 주거 문제를 강조할 정도로 서민의 주거복지는 열악함을 넘어 고통이 된 게 현실이다. 집값 폭등 탓에 저축으로 내집을 마련하는 꿈을 접은 지 오래이고, ‘벼락거지’라고 신세한탄하는 이들이 부지기수다. 이사를 가려면 빚을 더 내야 하는데, 은행에서 돈 빌리기도 ‘하늘의 별 따기’다. 생애최초 주택구입의 대출규제 등은 일부 완화됐지만, 집 장만 관련 금융규제는 여전히 산 넘어 산이다.
이런 문제를 공공임대를 늘리고, 대출 등 금융규제를 완화하고, 월세쿠폰을 지원하는 주거복지 서비스 강화로 해결한다면 환영할 일이다. 그런데 방향을 ‘내집 마련’으로, 그것도 ‘국가 책임’으로 풀겠다는 것은 완전히 다른 차원의 문제다. 국가주의 비판을 차치하더라도 너무 나갔다는 인상을 지울 수 없다.
국가 책임의 일례로 이 위원장은 청년과 신혼세대를 위한 ‘50년 만기 모기지대출 국가보증제’ 추진을 약속했다. 작년 말 금융위원회가 만기 40년 이상 주택담보대출 상품을 서민 주거안정을 위해 시범 공급하겠다고 밝혔으니, 이를 10년 정도 더 늘리는 안(案)이다. 여기에 ‘국가보증’이란 꼬리표를 달려면 저(低)신용자를 위한 신용보강을 해주고, 금리 부담도 줄여줘야 한다. 부실채권도 막아야 한다. 국가 재정이 동원될 수밖에 없는 문제고, ‘집 줄 테니 표 다오’식의 얘기가 되고 만다. 또 여당에 등을 돌리는 청년 등에만 50년 대출을 보증해주면 40~50대 무주택자들의 설움엔 눈감겠다는 것인지 궁금하다.
이 위원장은 이날 국가책임제의 당정협의 여부를 묻는 질문에는 “전혀 엉뚱한 얘기는 아닐 수 있다”고 구렁이 담 넘어가듯 답했다. 아무리 선거가 정당의 숙명이라고 해도, 집권여당이 이렇게 마구잡이로 ‘국가책임제’를 던져도 되나 싶다. 설익은 정책임은 물론, 또 한번 허언(虛言)이 될 수도 있다. 선거 후에 여당에 확인할 게 너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