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지자체들이 바이오산업을 특화해 미래 전략 산업으로 집중 육성하고 있다. 충북 청주의 오송바이오의약품생산센터.  충청북도 제공
전국 지자체들이 바이오산업을 특화해 미래 전략 산업으로 집중 육성하고 있다. 충북 청주의 오송바이오의약품생산센터. 충청북도 제공
충북 제천에 국내 최대 규모의 한방바이오밸리가 조성된다. 충남 아산에는 마이크로바이옴 허브가 구축되고 부산에는 바이오 유망기업 연구개발(R&D)센터, 경북 의성에는 바이오기업 지원시설이 들어선다.

전국 지방자치단체들이 바이오를 차세대 주력 산업으로 집중 육성하기 위해 팔을 걷어붙였다. 세계 바이오산업 시장 규모가 5년 내 1경7000조원으로 전망되는 데다 정부가 바이오를 미래 핵심 산업군으로 정하고 전폭적인 지원을 약속해서다.

제천 한방밸리, 의성은 세포배양…지자체 '바이오 혈투'
충청북도는 청주 오송 바이오특화단지를 중심으로 충주(당뇨), 제천(한방), 옥천(의료기기), 괴산(유기농)을 잇는 바이오 5각 벨트를 세계적인 바이오 집적화 단지로 육성한다고 15일 발표했다. 제천 한방바이오밸리 조성, 사업화 연계기술개발(R&BD) 융합연구병원 건립, 바이오헬스 전담기관 설립 등에 2030년까지 4조6271억원을 투자한다. 맹은영 도 바이오산업과장은 “10년 안에 바이오기업 1600개를 유치하고 전문인력 5만 명을 양성하겠다”고 말했다. 충청남도는 KTX천안아산역 R&D 집적지구(1만6528㎡)에 마이크로바이옴 상용화 및 연구개발센터를 건립한다. 마이크로바이옴은 유익균 및 유해균의 생성 원리와 질병 간 연관성을 분석해 신약 개발과 불치병 치료 연구에 활용하는 분야다. 도는 이달부터 예비타당성조사 신청에 들어갔다.

시·도마다 바이오산업을 특화·선점하기 위한 경쟁도 치열하다. 세종시는 바이오메디컬 활성소재산업에 공을 들이고 있다. 바이오메디컬 활성 소재는 천연 화합물을 가공·발효·합성해 부가가치를 높이는 신소재다. 시는 지난달 KAIST 및 바이오기업 네 곳과 ‘바이오메디컬 활성 소재 허브 조성을 위한 협약’을 했다. 대전시는 2022년까지 93억원을 투입해 ‘의료현장형 정보통신기술(ICT) 융·복합 체외진단 고도화 사업’을 추진한다. 소변, 땀, 혈액 등을 채취한 데이터를 의료기관으로 보내 생체 신호를 분석해주는 기술이다. 대전시 관계자는 “체외진단 ICT 플랫폼을 구축하고 관련 장비를 지원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부산시는 의약용 특수효소, 화장품, 헬스방역산업을 특화하기로 했다. 의약용 특수효소 기업인 아미코젠은 2025년까지 1100억원을 투자해 금곡도시첨단산업단지에 글로벌 연구개발센터를 세우기로 했다. 경상북도와 의성군은 바이오 소재 산업 육성에 나섰다. 390억원을 들여 세포배양 기업 유치를 위한 산업단지(23만여㎡)를 조성하고 백신상용화기술 지원 및 동물세포실증지원센터 건립을 추진 중이다. 전라남도는 2030년까지 4조4535억원을 들여 의약, 농생명, 해양바이오 등 7개 전략사업을 본격화한다. 메디컬 자원과 융합한 바이오산업 생태계 구축이 목표다. 경기도는 식·의약품 소재 안전성을 분석하고 인허가를 지원하는 바이오기업 R&D 지원사업을 추진한다. 경기도 관계자는 “지역에 맞는 바이오산업을 특화해 경쟁력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청주=강태우 기자/전국종합 ktw@hankyung.com